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물관특구 영월은 '文化 백화점' 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8초

김삿갓과 별과 인도미술과 조선민화···20여곳 박물과 속이 꽉찬 여행

박물관특구 영월은 '文化 백화점' 이다 영월은 박물관 고장이다. 20여곳이 다양한 박물관은 그 자체로 문화자 놀이공원이다. 사진 왼쪽 조선민화박물관, 오른쪽 미디어기자박물관, 민화박물관체험,인도박물관 등.
AD

[아시아경제 조용준 기자]영월은 박물관의 대표 고을이다. 전국에는 수많은 전시관과 박물관이 있다. 하지만 영월만큼 다양한 박물관을 한 곳에 갖춘 고장도 드물것이다.


2000년대 초반 하나둘 들어서기 시작해 어느덧 20여 개 박물관이 옹기종기 진영을 갖췄다. 테마도 민화, 사진, 동굴, 화석, 악기, 지리, 천문 등 다양하다.

영월군 여행안내 팸플릿만 봐도 박물관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각별한지 알수 있다. 정중앙에 20여 개 박물관에 대한 설명이 큼직하게 정리된 것은 물론, 지도와 내비게이션용 주소, 관람 시간, 휴관일까지 병기돼 있다. 박물관 서너 곳만 둘러봐도 영월 여행이 풍성해진다.


자 그럼 박물관으로 떠나보자. 영월의 박물관을 논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 조선민화박물관이다. 김삿갓계곡 깊숙이 위치한 조선민화박물관은 영월 지역 박물관의 단초를 마련한 곳이자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다.

2000년 개관 당시만 해도 비포장도로를 지나 외진 데 자리한 이곳은 영월 지역 박물관의 역사를 지켜본 명물이 됐다.

박물관특구 영월은 '文化 백화점' 이다


국내 최초 민화 전문 박물관에는 조선 시대 민화 3000여 점이 소장되었고, 그중 200여 점과 현대 민화 100여 점을 상설 전시한다.


진열된 민화를 살펴보면 소박한 서민의 정서가 묻어난다. 익살맞은 호랑이와 까치를 그린 '작호도', 십장생을 표현한 '십장생도', 글자를 화폭에 옮긴 '문자도' 등에는 금방이라도 호기심을 쏟아낼 듯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우리 고유의 정서와 삶을 표현한 민화는 때로 익살스럽게, 때로 파격적인 구성으로 다가선다. 그림에는 낙관도 없고 작자도 불분명하지만 재액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기복 신앙의 의미가 서려 있다.


'화조도'는 가정의 화목, 물고기를 그린 '어해도'는 부부 금슬이나 출세를 기원하는 뜻이 있어 민화로 만든 기념품은 선물로도 인기 만점이다.


언뜻 보기에 생소한 그림들은 친절한 해설이 곁들여져 귀에 쏙쏙 들어온다. 박물관 측은 한 명이 박물관을 찾아도 전문 해설사의 해설을 제공한다. 쓱 둘러보고 돌아서는 초짜 방문객을 위한 오석환 관장의 배려다. "이야기가 담긴 민화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게 오 관장의 지론이다.

박물관특구 영월은 '文化 백화점' 이다


박물관에서 어른들의 흥미를 돋우는 곳은 춘화를 전시한 2층 공간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수집한 춘화들이 전시되어 19세 이하는 출입 금지다. 아이들에게는 다양한 민화 체험이 흥미롭다. 민화 그리기, 판화 찍기 같은 실습이 1층 전시관에서 진행된다. 나무나 부채에 곱게 칠한 민화는 가져가거나 선물할 수 있다.


박물관을 벗어나면 김삿갓계곡 외씨버선길을 따라 난고김삿갓문학관과 묵산미술박물관이 이어진다. 난고김삿갓문학관은 김삿갓 선생의 생애와 문학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묵산미술박물관에서는 전 세계 어린이들의 그림과 영월의 설경 작품 등을 볼 수 있는데 1박 2일 머무르며 미술 체험도 가능하다.


영월 읍내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주천 방향으로 가면 박물관의 테마가 더욱 풍성해진다. 지난해 문을 열어 새롭게 주목 받는 곳은 인도미술박물관이다. 미술가 박여송 관장과 인도 지역을 연구하는 백좌흠 교수 부부가 문을 연 곳으로, 외관부터 인도를 연상케 한다.


박물관특구 영월은 '文化 백화점' 이다

박 관장 부부가 30여 년간 여행하며 수집한 현지인들의 투박하면서도 알토란같은 작품을 전시하는 이곳은 작품 구성과 전시, 설명에 섬세함과 꼼꼼함이 돋보인다. 헤나 보디페인팅, 인도 의상 입어보기, 인도 차 만들기, 인도 요가 등 다양한 체험도 마련해 박물관 나들이를 더욱 알차게 한다.


인근 호야지리박물관에서는 동해가 한국의 바다로 표시된 고지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 책박물관에서 새롭게 오픈한 영월미디어기자박물관에서는 기자들의 취재 현장과 사진 작품을 엿보고 기자 되기, 가족 신문 만들기 등 오붓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영월 읍내에서는 별자리 관측과 다양한 천문 체험이 가능한 별마로천문대, 국내 최초의 공립 박물관으로 동강을 비롯한 사진 작품 1500여 점이 전시된 동강사진박물관이 위용을 자랑한다.


박물관과 자연경관, 문화 유적이 어우러진 영월은 나들이를 더욱 신명 나게 만든다.
단종의 슬픈 역사가 서린 장릉과 청령포, 선돌은 영월 읍내에서 가까우며, 인도미술박물관과 호야지리박물관이 들어선 주천 권역은 요선정, 다하누촌, 꺼먹돼지촌 등 먹을거리골목으로 여행자를 유혹한다.


조선민화박물관이 들어선 김삿갓계곡에서는 맑고 깨끗한 영월 계곡의 진수를 음미할 수 있다.


◇여행메모
△가는길=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중앙고속도로 제천 IC를 나와 영월 방면 38번 국도를 이용한다. 영월 읍내를 지나 고씨동굴, 김삿갓면으로 가면 조선민화박물관이다.


△볼거리=(당일코스)조선민화박물관→난고김삿갓문학관→인도미술박물관→장릉→청령포→별마로천문대.
(1박 2일 코스) 첫째 날/ 조선민화박물관→난고김삿갓문학관→선돌→청령포→동강사진박물관→장릉→별마로천문대
둘째 날/ 한반도 지형→영월미디어기자박물관→호야지리박물관→요선암→인도미술박물관. 문의 영월군청 문화관광과 (033-370-2037)


△먹거리=영월읍 단종로에 있는 사랑방식당(033-374-4655)은 오징어볶음과 보리밥을 맛깔스럽게 낸다. 주천면의 다하누촌 본점(033-372-2227)에는 저렴한 한우를 구입해 직접 구워먹을 수 있다. 주천면 서강로의 풍류관(033-372-8851)은 꺼먹돼지구이와 곤드레밥을 잘하고 영월읍의 청산회관(033-374-2141)은 곤드레밥이 유명하다.




. 여행전문기자 조용준 기자 jun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