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대 권력기관, 호남 수장 나올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쏠림 인선' 논란에 탕평 인사 펼칠지 관심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새 정부 내각과 청와대 주요 인선이 마무리된 가운데 검찰총장, 국가정보원장, 경찰청장, 국세청장 등 4대 권력기관 인선에 관심이 쏠린다.


박근혜 당선인의 그간 인선이 지역안배나 탕평, 소수자 배려와는 거리가 멀고 친박(親박근혜) 인사나 특정 대학 출신들의 발탁이 두드러졌던 터라 더욱 그렇다.

4대 권력기관장 가운데 가장 예민한 자리는 검찰총장이다.


특히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가 각종 의혹에 휘말려 야권으로부터 자진사퇴 압박까지 받고 있어 검찰총장에 누가 오를 지에 정치권 등의 관심이 크다.

장관 내정자는 인사청문 대상이긴 하지만 인준 대상은 아니라서 본인이 사퇴하지 않을 경우 그대로 입각하게 된다.


황 내정자가 부담을 뒤로하고 입각하게 될 경우 검찰총장 인선이 더욱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황교안 내정자는 서울 출생, 곽상도 청와대 민정수석 내정자는 대구 출생이다. 전남 출생 소병철 대구고검장 등 호남 출신 검사장들이 새 검찰총장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이유다.


소 고검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개혁 성향이 큰 인사로 평가돼 박 당선인의 검찰개혁 과제를 수행하는 데도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가정보원장역시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대북 정보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박 당선인이 고심할 수밖에 없는 자리다.


국회 정보위원장을 지냈던 권영세 전 새누리당 의원, 검찰 출신으로 국정원 2차장을 지낸 같은당 김회선 의원 등이 거명된다.


그러나 이들 모두 친박이라서 부담이 있다. 특히 국정원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선거개입 논란'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해 정치인 출신을 기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새 정부 안보 컨트롤타워인 김장수 청와대 안보실장 내정자와의 호흡이 가장 큰 고려요소가 될 것이란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경찰청장 자리는 김기용 현 청장이 지킬 가능성이 높다. 박 당선인은 대선 때 경찰청장 임기 보장을 약속했다.


김 청장은 지난해 5월 취임했고 2년 임기 중 약 9개월을 채웠다. 김 청장 취임 당시 '사실상 박 당선인의 인사'라는 말도 돌았었다. 김 청장은 충북 출신이다.


새 국세청장에는 당초 박윤준 국세청 차장, 조현관 서울지방국세청장, 김은호 부산국세청장 등 영남 출신 인사들이 거명됐다.


그러나 전남 출신에 목포상고와 한국방송통신대를 나온 임창규 광주지방국세청장 등 청내 기득권 구조 또는 출신 지역 및 학교의 상징성을 고려한 깜짝인사 발탁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박 당선인의 초대 내각 장관 내정자들 가운데 호남 출신은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내정자(전남 완도)와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전북 고창) 등 두 명뿐이다. 강원 출신은 한 명도 없다.


조윤선 여성가족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내정자 등 여성 장관 내정자가 두 명 포함됐지만 조 내정자의 경우 지난 대선 과정에서부터 박 당선인 측 대변인으로 밀착 동행해온 터라 '여성'으로서의 상징성보다는 '새로운 친박 핵심'으로서의 상징성이 더 크다는 평가다.




김효진 기자 hjn252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