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유럽, 환율전쟁 진화 나서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일본의 인위적인 엔화 약세 정책에서 비롯된 각 국의 환율전쟁과 관련, 미국과 유럽이 진화에 나설 것이라고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의 통화 당국자들은 오는 15~16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앞두고 환율전쟁을 진정시키기 위한 주요 7개국(G7)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특히 이번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선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 문제가 집중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또 미국과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로 구성된 G7의 공동 성명 초점은 환율이 시장 개입이 아니라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G7은 이미 인위적인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합의를 했다.


하지만 일본은 아베 신조 총리가 정권을 잡은 지난해 말부터 엔저정책을 펴고 있으며, 나머지 G7 회원국도 자국의 통화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G7의 공동 성명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G7 회원국이 공동성명에 합의하지 못하면, 개별 국가 차원에서 인위적인 외환시장 개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방안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율전쟁 우려는 지난해 미국이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한 이후부터 제기됐고, 일본의 아베 신조 정권 출범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엔화 가치를 떨어뜨리겠다고 노골적으로 밝힌 이후 더욱 커졌다.


일본의 엔화는 지난해 달러당 80엔대에서 올들어 90엔을 넘어섰고, 오는 2분기에는 100엔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엔화 가치의 하락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남미와 유럽 국가들이 수출 하락을 위한 자국 통화가치 절하를 유발, 국제 환율전쟁에 대한 우려를 부채질하고 있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