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의학硏, 한의기술표준센터 1층에 향약표본관 개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국내 자생 한약재 600여점 모아···한약개론, 향약테마관, 한약재 감별코너 등 마련

한의학硏, 한의기술표준센터 1층에 향약표본관 개관 국내 자생하는 한약재 600여점을 모아 11일 문을 연 한국한의학연구원의 향약표본관 모습.
AD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오가피, 어성초, 산수유, 녹용, 우황….’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한약재 600여점을 다양한 테마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전문표본관이 대전에서 문을 열었다. 우리나라에서 채취할 수 있는 한약재만을 테마로 하는 전문한약재표본관이 문을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최승훈, 이하 한의학연)은 11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한약재를 일반인들이 재밌고 쉽게 체험할 수 있는 향약표본관을 개관했다고 밝혔다.


향약(鄕藥)은 향토(鄕土)의 약이란 뜻이다.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이란 뜻으로 조선시대 중국산 약재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고려시대 후기부터 비싼 중국산 약재 대신 우리나라 약재로 온 국민들에게 혜택을 주기위해 시작한 고유의 약재를 일컫는다.

향약표본관은 연구원 내 한의기술표준센터 1층에 있으며 84평 규모로 한약개론, 향약테마관, 한약재 감별 체험코너, 상영관 등 4가지 존으로 짜여졌다.


한약개론은 한약의 개념과 우리나라 한약 활용의 역사, 한약이론, 약재산지, 한약이 되기까지의 과정, 허준과 동의보감 등 학술적 내용이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


향약테마관 입구엔 터치스크린과 함께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이 소나무는 한민족을 상징하는 것이다. 잎·꽃가루·뿌리껍질·수액 등 여러 부위를 한약재로 써왔다. 터치스크린과 점멸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소나무와 관련약용부위를 살펴볼 수 있고 동의보감에 있는 효능설명도 확인할 수 있다.


향약테마관에 전시된 한약재는 식물성약재 107품목, 500여점과 동물성약재 40여점, 광물성약재 30여점 등 600여점에 이른다. 특히 중국에선 쓰지 않고 우리나라에서만 써온 향약을 중국약재와 비교전시해 한국 한의약의 자주성을 높였다.


한약재 감별체험코너에선 디지털현미경과 확대경을 이용, 국산 및 수입산 한약재실물과 현미경용 표본 및 약용식물 압착표본을 볼 수 있다.


이밖에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전통의약 전래설화 애니메이션 감상, 십전대보탕 등 한약처방에 들어가는 한약재 고르기, 우황청심원 등 한약제제의 제조과정 등 어린이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간접체험 키오스크도 마련돼 있어 어린이, 청소년들의 산 교육장 역할을 할 전망이다.


최승훈 한국한의학연구원장은 “향약표본관은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한약재만을 전문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최고수준의 전시관”이라며 ”전국에 산재한 한약자원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존·활용·홍보할 수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