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무역결제로 진화한 한·중 통화스와프

시계아이콘00분 59초 소요

한국과 중국의 64조원(3600억위안) 규모 통화스와프 자금이 무역결제에 활용된다. 양국 중앙은행이 상대 은행에 통화스와프 한도 내에서 자국 통화를 입금하면 각각 시중은행을 거쳐 수입업체에 빌려줘 물품대금을 결제하는 데 쓰인다. 한국 기업과 거래하는 중국 수출업체는 위안화로 대금을 받고, 중국에 수출하는 한국 수출업체는 원화로 대금을 받는 방식이다.


원ㆍ위안화 통화시장이 따로 없는 상황에서 양국 중앙은행이 보유한 통화스와프를 통해 달러 아닌 자국 통화로 결제하는 길이 열린 것이다. 외화유출에 대비한 안전판인 통화스와프를 실물 결제수단으로 진화시킨다는 의미가 있다. 미국ㆍ유럽ㆍ일본 등 선진국의 돈풀기(양적완화)로 촉발된 환율전쟁에 맞서는 방어선이기도 하다. 제도가 안착하면 한ㆍ중 무역결제의 95%에 이르는 미국 달러화 의존도가 낮아질 것이다. 양국이 추진하는 위안화ㆍ원화의 국제화에도 도움이 된다.

중국은 한국의 제1위 교역상대국, 한국은 중국의 제4위 교역국이다. 하지만 양국 간 교역의 위안화 결제 비중은 0.8%, 원화 비중은 0.04%에 불과하다. 한ㆍ중 교역을 통해 생산된 제품이 주로 미국과 유럽으로 수출되는 점도 기업들이 달러 결제에 의존하는 큰 이유다. 관건은 양국 기업이 달러화보다 원ㆍ위안화 결제를 선호하도록 여건을 갖추는 일이다. 한국은행은 달러화보다 높은 위안화 환전 수수료가 내려가지 않으면 결제통화를 바꿀 곳이 별로 없을 거라는 기업들의 의견을 귀담을 필요가 있다.


통화스와프 자금이 실제로 기업의 무역결제에 쓰이는 과정에서 양국 통화 간 균형을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로선 위안화 결제가 원화보다 빨리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는지 주목해야 할 것이다. 중국 정부가 관리하는 위안화에 비해 시장 자율에 맡기는 원화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첫걸음은 내디뎠다. 통화스와프 자금 무역결제가 계속되면 한ㆍ중 통화스와프가 사실상 상설화하는 효과를 낸다. 잘 정착시키면서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와도 같은 제도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통화스와프 연장이 중단되는 등 관계가 서먹해진 일본과도 통화스와프 자금 무역결제가 성사된다면 경제적 의미를 넘어 역내 공동번영에도 보탬이 될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