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소프라노 이원신… 음악은 내면적 울림이자 삶의 근원적인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권동철의 초대석 l 고독의 위로 향기로운 점묘화

소프라노 이원신… 음악은 내면적 울림이자 삶의 근원적인 것
AD

“지난 1997년 초 이태리 로마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의 스산한 바람 속에서 산더미만한 배낭을 메고 펑펑 울었다. 도전의 모험심보다 불확실한 미래가 더 두려웠다. 혼자 시작한 유학에서 스승 안젤로 델 이노첸티 교수를 만난 것은 행운 이었다.”


성악가 이원신은 “정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했다. 나의 음악에 대한 스스로의 불확실한 믿음을 스승은 단번에 간파하셨다. 그 다음 ‘잘 한다’는 격려가 쏟아졌는데 무한한 영감이 솟아났다. 그리고 맹렬하게 달렸다”고 말했다. 그 후 유명한 지휘자이며 음악코치인 카탈디 선생에게 푸치니 오페라 ‘나비부인’의 ‘쵸쵸상’역 제의를 받았다.

이때가 2006년이었으니 유학간지 9년 만에 유럽무대서 그녀는 일약 주목받는 성악가로 발돋움하는 전기(轉機)를 맞게 된다.


“음악은 매우 내면적인 울림이다. 들여다보기도, 일어나게 할 수도 있게 한다. 그런 면에서 삶의 근원적인 것이다. 유학에서 얻은 가장 소중한 성과가 바로 이것이다. 칭찬과 음악이 나를 감싸 영혼을 자유롭게 해 주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2008년 11년 만에 화려하게 귀향해 외국과 국내 공연을 번갈아 하며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요즈음 대중과 더 가까이 즐길 수 있는 탱고음악을 연습 중”이라는 그녀는 “역시 많이 불러보는 것이 최상의 방식이다. 오페라도 리허설에서 찾지 못했던 감이 무대서 올 때가 있는데 그것이야말로 평소 노력의 결실”이라고 말했다.


소프라노 이원신은 이태리 라퀼라 국립음악원을 수석졸업 한 후 스위스로 건너가 뉴샤텔 국립음악원 전문연주자 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세종대, 단국대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이코노믹 리뷰 권동철 기자 kdc@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