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이영규 기자】'고용률과 출산율, 서비스업 경쟁력은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최하위다. 사회복지와 성평등, 안전 등 사회통합분야도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다만 R&D 지출과 생산가능인구,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은 1위로 상대적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 김군수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기획재정부에서 분석한 국가경쟁력 보고서의 경제ㆍ사회통합 부문 지표를 토대로 경기도 관련 55개 지표를 도출하고 OECD 34개 국과 비교분석한 '지표로 본 경기도의 글로벌 위상과 시사점'을 내놨다.
이 비교분석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의 경제규모(GRDP)는 OECD 34개국 중 27위로 작은 국가 수준이었다. 또 경제성장률은 2위, 인구와 무역규모는 각각 16위, 26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1인당 소득(GNI)은 30위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기도의 기술혁신과 자본형성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잠재적 생산성이 높게 평가됐다.
경기도 R&D지출과 연구인력, 정보통신기술(ICT)제품 수출 비중은 OECD 내 1위를 차지했다. 또한 글로벌 경기침체와 OECD의 전반적 투자부진 속에서 총고정자본형성 비중과 증가율도 각각 1위, 5위로 나타났다. 노동공급 측면에서 생산가능인구 비율 역시 1위를 기록했다.
경기도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은 각각 1위, 29위로 분석됐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22위로 OECD 내 중하위 수준이었다. 교육서비스 부가가치 비중은 4위로 경쟁력을 갖췄지만 금융업과 사업서비스업은 각각 33위, 28위로 고부가서비스 부분의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회복지와 관련한 지표로 1인당 복지비용 34위, GRDP 대비 사회복지 지출비중 34위를 기록했다. 고용률과 출산율은 각각 30위, 33위로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성평등 지표에서 여성고용률 32위, 여성취업자 비중 32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26위로 거의 최하위 수준을 나타냈다.
인구 1000명 당 병상 수는 1위, 평균수명은 13위, 유아사망률은 27위로 분석됐다. 끝으로 자살률은 2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범죄율과 이혼율은 각각 21위, 22위로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은 최하위였다.
김군수 선임연구위원은 "OECD 34개국과 비교할 때 경기도는 고용률과 출산율, 서비스업 경쟁력 수준이 최하위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사회복지와 성평등, 안전 등 사회통합분야도 하위 수준이므로 여성의 경제활동 및 취업 촉진, 자살과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