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일화, '文 조급' vs '安 느긋'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문재인, 주도권 쥐려면 서둘러야
안철수, 정책부터 먼저해야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문재인 후보의 단일화 시계엔 초침(秒針)만 있고,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 시계에는 시침(時針)만 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의 단일화 행보를 두고 여의도 정가에서는 이런 비유가 나온다. 문 후보는 초단위로 시간을 체크하며 논의를 서두르고자 재촉하지만 안 후보는 '내 갈 길을 가겠다'며 문 후보측의 요구를 요리조리 피한다.


단일화, '文 조급' vs '安 느긋'
AD

문재인 선거캠프는 연일 안 후보측에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우상호 공보단장은 30일 당사 진행한 브리핑을 통해 "단일화 논의를 더이상 늦출 수 없다"며 "늦어도 11월 초인 다음주부터 단일화대안 구체적 협상 진행돼야 등록전 단일화 가능하다고 본다"며 안 후보측을 압박했다. 그는 또 "유불리를 떠나 단일화 논의 늦추는 것은 국민의 열망을 받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안 후보측에 공식적으로 단일화 협상을 진행하자고 말했다.


또 문 후보 본인도 매일 '단일화'에 관한 입장을 밝히며 여론 몰이를 하고 있다. 문 후보는 지난 28일 "단일화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단일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안 후보측은 구체적인 답변은 미루고 있다. 30일 안철수 후보측 김성식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단일화 시점은) 단정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새로운 시대로 가야한다. 공과 과에 대한 논의들이 자연스럽게 되리라고 본다"며 "국민들께서 단일화 과정 만들어주신다면 반드시 이겨서 새정치를 이루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단일화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으면서도 여유를 두고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양측이 이 처럼 상반된 행보를 보이는 것에는 이해득실에 대한 셈법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문 후보측은 단일화 이후 양자구도에서 승기를 잡기위해서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단일화 이후 새롭게 선대위를 구성하고, 정책을 통합하는 작업 자체에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는데 이를 해결하고 박 후보와 맞붙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고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이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단일화의 주도권을 누가 쥐는냐에 있다. 차일피일 시간이 미뤄지면 결국 안 후보의 요구 사항을 더 많이 들어주게 될 가능성이 크고, 단일화의 주도권을 안 후보 측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서두르는 것이다. 선거일이 가까워 질수록 지지율이 높은 후보에게 무게중심이 쏠릴 수 있다는 분석도 문재인 캠프를 조급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반면 안 후보측은 과거 사례를 비춰 봤을 때도 여유가 있다는 판단이다.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는 후보자 등록 이틀전인 25일에 단일화 발표를 했다.


또 문 후보와는 달리 정책 발표를 마무리 짓지 못한 것도 안 후보가 단일화 테이블을 멀리하는 이유다. 굵직한 정책 공약이 남은 상황에서 단일화 발표를 서두르면 정책행보가 빛이 바래고, 정책 협상에서도 문 후보에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간을 벌고 있는 셈이다.




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