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노승환 기자]인천국제공항 매각의 '신호탄' 격인 '인천공항급유시설(주)' 민영화에 점차 속도가 붙고 있다. 인천 정치권은 연일 성명을 내 급유시설을 포함한 인천공항 민영화 방침을 강하게 규탄하고 나서 갈수록 논란이 커지고 있다.
10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조만간 공사의 급유시설 매입문제를 다루기 위한 이사회가 예정돼있다. 공사 상급기관인 국토해양부는 '인천공항공사가 인천공항급유시설을 매입하고 시설 운영권 새 민간사업에게 다시 넘긴다'는 방침을 사실상 정한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달 22일 인천공항공사에 "급유시설을 귀 공사에 매각하기 위한 감정평가가 진행 중"이라며 "공개경쟁 방식에 의해 운영관리자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이어 지난 5일엔 한국감정원의 감정 결과를 첨부해 다시 한 번 공문을 보냈다. 감정가격은 영업권 1368억원 포함 1985억원으로 알려졌다. "급유시설 매각과 민영화가 수순을 밟고 있는 것 아니냐"는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인천공항급유시설(주) 측도 민간 운영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민영화를 추진하는 쪽의 논리는 시설 사용료 인하, 공정경쟁 유도와 효율적 운영 등이다. 우선 과거 국내 다른 공항의 사례를 볼 때 급유시설이 민영에서 공영으로 넘어간 뒤 오히려 시설 사용료가 크게 올랐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김포와 부산, 제주공항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세 공항의 1갤런 당 급유시설 사용료는 민간이 운영할 때보다 각각 86.7%, 73.3%, 220.6%씩 올랐다. 미국과 독일, 영국 등 선진국 주요공항의 급유시설을 민간이 운영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반박도 만만치 않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지난해 12월 '인천공항 민자시설 처분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급유서비스는 항공기 운영자에게 필수 서비스인 동시에 공항이 이윤을 낼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그 이익이 공항에 대한 재투자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소유권이 처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인천공항급유시설은 현재 연간 60억~70억원의 흑자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 소속 문병호 의원(인천 부평갑)은 10일 성명을 내 "우리 287만 인천시민과 국민은 이명박 정부의 인천공항급유시설 민영화방침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한 뒤 " 정부가 급유시설을 직영하면 훨씬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는데도 굳이 알짜배기 기업을 민영화하려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비판했다. 앞서 민주통합당 인천시당도 지난 8일 성명에서 "정부는 인천국제공항 매각방침을 재확인한 데 이어 급유시설마저 민영화를 추진하는 등 반국익적 행동을 서슴치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공항공사의 이사회가 다가오면서 급유시설 매각과 민영화의 향방을 두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노승환 기자 todif7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