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막판 설득…금융당국 "상시 구조조정"
영업정지 대상 아닌 곳도 불똥 "유동성 풍부" 해명 해프닝
$pos="C";$title="[포토] 저축은행 몰려든 예금자들";$txt="경영상태가 부실한 저축은행들의 추가 퇴출을 앞두고 불안을 느낀 예금주들이 4일 서울 강남의 한 저축은행 본점에 몰려 있다.
";$size="326,420,0";$no="2012050410390047134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저축은행 영업정지에 대한 우려로 대규모 예금인출(뱅크런) 사태가 가시화되고 있다. 각 지점에서는 예금자보호법과 인출에 따른 손실을 설명하는 등 설득에 나섰지만, 대부분의 방문객들은 예금인출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저축은행들은 영업정지라는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막바지 안간힘이다. 예금자들을 설득하는 한편 유동성을 마련하는 데도 분주하다. 구조조정의 열쇠를 쥐고 있는 금융당국은 뱅크런과 관련된 입장표명을 꺼리면서도 향후 일괄정리 보다는 상시 구조조정 체계로 개편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고객 "불안해 안되겠다" 뱅크런 조짐 = 각 저축은행 지점에서는 방문객과 예ㆍ적금 해약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퇴출 대상이 아닌 곳에서도 인출 움직임이 포착되는 등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S저축은행의 충무로 지점의 경우 오전 9시30분 현재 번호표가 480번까지 배포됐다. 한 50대 남성은 "돈이 묶이면 안된다"면서 "곧 필요한 돈이기 때문에 오늘 꼭 찾아야한다"고 밝혔다. 이 저축은행의 마포지점에서는 20여명의 고객이 새벽부터 줄을 서면서 자체적으로 번호표를 제작, 배포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고객과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 H저축은행의 연신내 지점은 찾아오는 고객과 문의전화가 급증하자 본점과 협의해 영업시간을 8시20분으로 앞당겼다.
영업정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알려진 저축은행에도 불똥이 튀었다. 또 다른 H저축은행의 회현지점에 인출자들이 몰리자 지점장이 직접 나서 "우리 저축은행은 유동성이 풍부하며, 영업정지 대상이라는 소문은 잘못 알려진 것"이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거론되고 있는 저축은행들이 모두 영업정지 될 경우 시장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적기시정조치가 유예 중인 5개 저축은행에 5000만원을 초과하는 예금을 보유한 사람은 5월 현재 1만4000명, 예금 규모는 7789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5000만원 초과분은 789억원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막연한 불안감에 따른 예금 중도해지는 피해만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보 관계자는 "저축은행 예금자가 1년 만기 정기예금 4500만원을 만기 직전에 중도해지 할 경우, 약 180만원의 이자손실(만기이율 5.5%, 중도해지이율 1.5% 가정)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막판 자구노력에 '안간힘' = 저축은행 영업정지에 대한 불안감은 확산되고 있지만, 일부 저축은행의 회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건전성 개선을 위한 막판 몸부림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 대형 저축은행은 발표 직전인 4일 오전 자회사 보유 지분 절반가량(46.6%)을 매각해 자기자본을 늘리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겠다고 나섰다. 또 다른 대형 저축은행은 경영권 포기라는 카드를 내걸면서 퇴출만은 막겠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역시 영업정지 발표를 전후로 발생할 '뱅크런'을 대비해 유동성 마련과 단계별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등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금융당국 "공정하고 투명하게".. "상시 구조조정할 것" = 금융당국은 불필요한 뱅크런과 시장 혼란을 막겠다는 취지에서 발표 직전까지는 관련 내용에 대한 '함구'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아직까지 최종 결론이 나지 않았다면서 불필요한 전망이나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을 갖고 절차를 밟겠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뱅크런 현상에 대해서는 "보고를 들어 알고있다"면서도 "관련 대책은 예보 등 관련기관이 알아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괄 정리 보다는 상시 구조조정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행하는 경제정보지를 통해 "과거에는 공적자금을 대규모로 조성하고 구조조정을 해서 예금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이번에는 사전적인 공적자금 구성 없이 구조조정 하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었기 때문에 결국 많은 피해자들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제는 일괄 정리는 없다"면서 "시장에 의해서 상시적으로, 즉 자기자본비율(BIS)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시장에서 퇴출된다"고 못박았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현정 기자 alpha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현정 기자 alphag@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