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디아 프리즘]흔들리는 인도경제를 위한 변명

시계아이콘01분 45초 소요

[인디아 프리즘]흔들리는 인도경제를 위한 변명
AD

최근 들어 국내 언론에서 인도 경제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자주 나오고 있다. 기사 제목들을 보자. '인도경제 추락 어디까지?' '인도 성장률 곤두박질' '흔들리는 인도 경제' '인도 경제 총체적 난국 맞았다' '인도 경제 짙어지는 먹구름' 등 온통 비관적 제목 일색이다.


심지어 일부 언론은 "올해 인도 경제가 6% 이하의 성장률을 나타내 1970ㆍ80년대 수준으로 굴러떨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인도 경제가 1991년 개방 이전의 저성장 시대로 돌아갈 것이란 말이다. 이들 기사만 보면 인도 경제가 조만간 큰 위기에 빠질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언론들이 인도 경제를 이처럼 부정적으로 보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지난해 예상 성장률 하락과 증시 폭락, 고물가, 대규모 재정적자와 무역수지, 부정부패, 기대에 못 미치는 외국인직접투자(FDI) 등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단기 경기 지표들을 보고 인도 경제가 마치 큰 위기에 처한 듯 보도하는 것은 너무 단편적이고 근시안적이다. 최근 경기 지표를 볼 때 인도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된 것은 분명하다. 인도 정부는 2011년 회계연도(2011년 4월~2012년 3월) 경제성장률이 6.9~7.5% 선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한다. 2010년의 8.4%에 비해 0.9~1.5%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 정도의 성장률 하락은 구조적 위기라기보다 경기순환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성장률이 여전히 중기 추세선(6~9%) 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증시 폭락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인도 증시는 약 24% 떨어졌다. 그러나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 비해 여전히 2배 가까이 오른 상태이고, 특히 새해 들어선 16%나 급상승했다. 즉 상황이 반전된 것이다. 그런데도 일부 언론은 지난해 상황을 근거로 기사를 쓰고 있다.

고물가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인도 물가는 지난 2년간 9% 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10년 3월부터 연속 13차례에 걸쳐 금리를 올린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인도 물가는 지난해 말부터 빠른 하락세다. 지난해 12월 7.47%를 기록한 후 지난 1월에는 6.55% 상승에 그쳤다.


특히 주목할 사실은 최근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식품 가격이 상승 대신 0.5% 하락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인도중앙은행(RBI)이 경기부양을 위해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대보다 적은 FDI 액수도 인도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게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인도에의 FDI는 2010년 210억달러에 그쳤다.


그러나 인도에의 FDI는 가장 최근 통계인 지난해 4~11월 8개월간 228억달러가 유입돼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62%나 급증했다. 이달 말 끝나는 2011년 회계연도 FDI는 350억달러를 웃돌 것으로 점쳐진다.


고질적 부정부패 문제도 흔히 인도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게 만드는 또 다른 요인이다. 부정부패는 개발도상국에선 흔한 문제로, 심지어 이탈리아 같은 일부 선진국에서도 심각한 구조적 부패를 목격할 수 있다.


반면 앞으로 예의 주시해야 할 인도 경제의 주요 문제점은 재정적자와 무역적자다. 이들은 과거 인도 경제를 위기에 빠뜨렸던 주범이다. 인도 정부는 올해 재정적자를 국내총생산(GDP)의 4.6%, 무역적자는 3.6% 내로 묶어두려 한다. 과거 추세로 볼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높은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 다른 불안요인과 결합할 경우 위험할 수도 있다.


인도 경제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가 얽히고설킨 '맛살라 경제'다. 그럼에도 1991년 개방 이후 높은 성장을 구가해 왔다. 문제가 적지는 않지만 단기적 지표들만 보고 곧 위기가 닥칠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인도 경제를 중장기적으로 차분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오화석 인도경제연구소 소장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