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터 新기업공시심사시스템 본격 가동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 금융당국이 기업의 부실위험에 따라 증권신고서를 차등화해 평가한다. 기업의 부실위험을 계량화해 등급을 매긴 후 부실기업에 공시심사 역량을 집중해 심사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2월부터 본격 가동하고 있는 '新기업공시심사시스템'의 일환이다.
정연수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14일 브리핑을 열고 "2월부터 新기업공시심사시스템을 통해 각 기업의 증권신고서를 차등화해 심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부원장보는 "건전하고 우량한 기업은 약식 체크리스트를 이용해 간략한 심사를 진행하고, 부실우려기업은 2인 이상 또는 2개 팀이 공동으로 심사를 진행하는 등 심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차등심사를 위해 금감원은 우선 자체개발한 기업 부실화 가능성 평가 모형을 이용해 각 기업의 부실위험 등급을 평가한다. 이 등급은 재무등급, 비재무등급, 종합등급으로 구분해 제공되는데 각 등급은 '우량'부터 '위험'까지 5단계로 나뉘게 된다.
증권신고서 심사 담당자는 이렇게 계량화된 등급과 제출된 신고서의 내용을 검토해 심사주준을 결정한다. 심사수준은 L1, L2, L3, SA 등 4개 단계로 나뉘고, 각 단계별로 차등화된 체크리스크가 제공돼 심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심사수준이 부실우려기업군이라고 할 수 있는 'SA'로 결정된 기업에 대해서는 최소 2인 이상이 심사에 참여하는 등 심사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정 부원장보는 "지난해 제출된 증권신고서 468건을 만들어진 부실평가모형에 적용해본 결과 40%(187건)가 심사를 완화해도 되는 건전기업군으로 14%정도(66건)가 지금보다 심사를 강화해야하는 부실우려기업군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결국 약 40% 수준의 기업의 공시 심사를 간소화하는 대신 이로인해 여유가 생기는 심사인력을 약 14% 수준의 부실기업 심사에 투입해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금감원은 또 기업공시 심사체계의 전 과정을 전산화 했으며, 관리자 및 심사 실무자들에게 기업의 현황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경영정보 리포트'를 제공한다. 기업경영정보리포트는 회사개황, 부실위험등급, 지배구조 변동, 자금조달 및 운용현황 등 공시심사에 필요한 7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으며, 전자공시시스템과 신용평가사 등에서 정보를 취합해 매일 내용을 갱신하게 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新기업공시심사시스템을 통해 부실우려 기업에 심사 자원을 집중할 수 있어 심사 효율성이 크게 높아지고, 전산시스템을 통해 심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공시심사의 투명성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또 "심사 기준이 계량화되고 표준화되기 때문에 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 입장에서 예측가능성이 높아지고, 건전기업의 경우 자금조달 편의성도 증진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재우 기자 jj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