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실채권(NPL) 돈 된다".. 경매파생시장 '인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부실채권(NPL, Non Performing Loan)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기관투자자는 물론 자금이 넉넉하면서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못한 일반인들까지 가세하고 있다. 경매 낙찰가격을 낮출 수 있고 낙찰 확률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부실채권 사면 돈 된다= 25일 부동산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www.taein.co.kr)에 따르면 지난해 낙찰된 경매물건 중 담보채권이 자산유동화전문회사로 양도된 물건은 전체 경매사건의 11%에 이른다.

부실채권 낙찰물건의 연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2009년 4486건(4.77%), 2010년 6466건(8.03%), 2011년 8283건(11.02%)로 집계됐다. 부동산경매에서 차지하는 부실채권의 비중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다. 부동산경매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채권을 사자는 수요와 팔려는 공급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부실채권은 무수익여신, 미회수채권 또는 부실채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을 해줬으나 채무자의 자금 사정으로 대출금에 대한 이자가 지속적으로 연체될 경우 대출채권을 부실채권으로 분류한다. 이에 금융권은 담보대출로 빌려준 돈을 회수하기 위해 장기간이 소요되는 부동산 경매 대신 채권을 판매해 현금화한다. 제 3자에게 받을 돈에 대한 권리를 판매해 부실을 털어낸다는 뜻이다.

이는 시장을 움직이는 손에 의한 결과다. 수요는 좀 더 싼 가격에 물건을 매입해 수익을 올릴 수 있고 공급은 부실을 떨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수순이다.


◇일반인까지 가세한 부실채권 사들이기= 수요는 기존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 수요와 더불어 일반인까지 가세하는 모양새다.


먼저 금융권 쪽 지인들을 통해 채권을 저렴한 가격에 사들인 수요는 자산유동화회사와의 협상을 통해 이를 판매할 수 있다. 유통과정에서 떨어지는 마진이 최근 들어 커지면서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정민 디지털태인 팀장은 "개개인이 거래 현황을 일일이 파악할 수는 없으나 최근 채권 거래 수익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일반인들의 경우 경매 입찰과정에서 채권금액을 한도로 입찰금액의 여유 폭을 늘려 물건을 사들이고 있다. 모든 경매는 채권자가 돈을 받기 위해 진행된다. 일반인이 채권을 사들일 경우 경매로 인한 낙찰금을 배당받을 수 있다. 만약 채권이 있는 상태에서 본인이 경매를 통해 해당 물건을 낙찰받으면 채권액 만큼을 상계할 수 있다. 채권을 낮은 가격에 사서 경매시 다른 입찰자들보다 높은 가격을 써서 낙찰받아도 큰 무리가 없다는 뜻이다.


이렇게 낙찰 받은 물건을 대상으로 다시 경락대출(경매낙찰대출)을 받을 경우 유동성 확보에도 유리하다. 또 장기적으로 자본이득을 취하고자 하려는 수요는 양도소득에 대한 절세를 목적으로 부실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지난 2009년 이후 3년간 낙찰된 부동산경매는 모두 24만9687건으로 채권자가 회수한 낙찰금액은 44조4392억원이다. 이중 금융권이 부실채권(NPL)으로 이전한 경매물건은 모두 1만9235건(7.7%)이다. 이들 NPL물건의 낙찰금액은 8조575억원으로 감정가 대비 평균 낙찰가율은 65.8%정도다. 평균적으로 일반 경매 물건(69.7%)보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이 약 4%P 낮은 셈이다.


◇올해도 '인기'=이같은 추세에 따라 부실채권의 인기는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다.


김성주 디지털태인 부실채권 검색지원팀 부장은 "지난해 부실채권으로 이전한 대부분의 물건에 대한 경매가 올해 진행된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권의 자체적인 리스크관리와 금융감독당국의 부실채권에 대한 정책강화가 예상돼 올해도 부실채권의 인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부동산경매를 통해 수익을 올렸던 이들은 10년 전 외환이기 이후 부실채권으로 인한 수익률이 컸다는 점을 상기하고 있다.


이 팀장은 "올 한 해 NPL의 양적 변화는 향후 부동산경매시장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할지 가늠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황준호 기자 reph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