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불안'을 변화와 혁신의 에너지로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임진년 새해를 맞아 캘린더와 언론매체 등 여기저기서 흑룡의 그림을 만나고 있지만 그 승천하는 자세가 영 불안하게 느껴진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2012년 벽두에 우리의 삶을 에워싼 국내외 환경이 온통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경제 분야가 특히 그렇다.


유럽 재정위기의 먹구름은 걷히기는커녕 짙어지는 양상이고, 이미 잠재수준 이하로 떨어진 국내 경제성장세도 당분간 회복되기보다 더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 심지어 올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1% 대까지 추락하리라고 전망한 외국 금융기관도 있다. 어디에서건 작은 불씨라도 튀면 가계부채, 고물가, 고용부진이 연쇄반응을 일으키며 폭발할 것 같다. 올해처럼 불안감이 팽배한 상태로 시작한 해도 드물다.

대통령과 정부 관리들이 내놓은 신년사도 예외가 아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나라가 어렵다고 강조하면서 지혜와 힘을 모으자고 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는 유럽 재정위기, 국내의 양대 선거 등으로 녹록하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이라면서 "위기를 극복하고 서민살림이 펴질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유럽의 재정위기, 미국ㆍ일본의 경기부진, 중국의 경기둔화를 언급하며 아예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 경제가 훨씬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반 국민이 느끼는 불안은 그보다 더 크다. 정부와 정치권의 리더십이 미덥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부와 한국은행은 물가를 목표범위 안으로 안정시키는 데 실패했다. 청년실업으로 상징되는 고용 부진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현실과 유리된 고용지표의 부분적 개선을 홍보하는 데는 적극적이었으나 내실 있고 효과적인 고용증진 대책을 내놓지는 못했다.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른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이 획일적인 대출총량 관리에 들어가는 바람에 가계의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이 초래됐다. 선거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여야 정치권이 내거는 쇄신이니 통합이니 하는 구호는 아직은 공허하게만 들린다.

그러나 거꾸로 생각하면, 안정보다 불안이 변화와 혁신에 더 큰 에너지가 될 수 있다. 믿을 만한 리더십이 없는 상황은 참신한 리더십의 탄생에 호기일 수 있다. 올해 연말에는 지금의 불안감이 해소되고 새로운 희망이 움터 있기를 바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