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47개 공공기관 이전 계획 승인..내년부터 실현단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 147개에 달하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계획이 모두 승인완료됐다. 이로써 올해 착공한 한국전력 등 63개 기관을 비롯해 내년부터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계획이 본격적인 실현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국토해양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지방이전계획이 지역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승인됨에 따라 147개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이 모두 승인됐다고 28일 밝혔다.

◆혁신도시 부지조성 80%..내년부터 16.8조 투입
한국정보화진흥원은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통합된 기관이다. 통합 후 이전지역 결정에 난항을 겪었으나 올 9월 지역발전위원회에서 대구혁신도시로 이전하되 교육·연수기능은 제주혁신도시에 배치하도록 조정됐다.


현재까지 발주요청 중인 8개 기관을 포함해 혁신도시내 63개 기관의 혁신도시내 청사가 착공됐다. 올 9월 도로공사, 10월 한국전력 등 31개 이전기관이 10개 혁신도시에서 모두 착공식을 개최했다. 혁신도시 유상공급부지 전체 2733만㎡ 중 61.6%(1685만㎡)가 분양완료됐다. 이전공공기관 부지는 95.9%, 주택용지는 60%가 분양됐다.

10개 혁신도시 부지조성사업의 현재 80% 정도 완성됐고 진입도로·상수도 등 기반시설은 70%까지 마무리됐다.


국토부는 내년부터 이전지역에 총 16조8000억원을 투자해 부지조성과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 공사를 완료하고 모든 이전기관 청사를 착공해 건축공정이 빠른 기관부터 이전하도록 할 방침이다.


우선, 진입도로, 상수도 등 기반시설 국고지원비 5년차 2000억원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 등 혁신도시 사업시행자를 통해 4조원을 집중투자한다. 내년까지 혁신도시 부지조성 및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을 완공하기 위해 투입되는 자금이다.


이전기관 청사건축비 9조원이 단계적으로 투자되고 사업초기 공급되는 아파트 2만9000가구와 22개 학교건설을 위해 총 3조6000억원이 투자된다.


◆지역업체 도급제 연장 등 지역경제 활성화 주력
내년에는 첫 이전 기관이 탄생한다. 내년 완공 예정인 국토해양인재개발원(현공정율 60%, 제주), 우정사업조달사업사무소(현공정율 33%, 경북), 우정사업정보센터(현공정률 28%, 광주전남)등 정부소속기관을 중심으로 혁신도시 이전이 추진된다.


국토부는 지역 경제와 환경 살리기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혁신도시를 녹색도시로 조성하고, 지역성장거점으로 본격 육성한다.


이전청사 건축시에는 지역건설업체가 40%이상 참여하는 지역의무공동 도급제가2013년말까지 연장된다. 현재 도로공사 1268억원 중 824억원(65%), 한국전력 1853억원 중 741억원(40%), 석유공사 902억원중 371억원(41%), 지적공사 255억원 중 117억원(46%) 등의 규모로 지역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환경면에선 이전기관청사를 에너지 효율 1등급보다 한층 강화된 ‘초에너지 절약형’ 건물로 짓는다. 이외에도 국토부는 이전공공기관과 합동으로 지역 청년 간담회와 취업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지역과의 소통을 보다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박충훈 기자 parkjov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