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서울대 분향소 설치사건, 무엇을 위한 것인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기자수첩] 서울대 분향소 설치사건, 무엇을 위한 것인가?
AD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26일 서울대에는 이색적인 두 풍경이 펼쳐졌다. 하나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추모 분향소 설치 시도이고, 다른 하나는 디도스 공격 사건에 대한 엄정한 수사를 촉구한 것이다.


서울대 농생명과학대학 박모(22·여) 학생 등 3명은 이날 낮 12시께 학생회관 1층 식당 앞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지난 19일 숨진 김 위원장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중앙도서관에도 대자보를 붙이고 “남북 화해와 한반도 평화의 마음을 담은 분향소 설치에 많은 분의 뜻이 함께 모이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분향소는 대학본부가 10여분 뒤 곧바로 철거했다.

학생들은 김 위원장이 남북합의서를 체결해 남북평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럴까.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등 남북평화를 해친 사례는 수도 없이 많다. 게다가 북한 정권의 인권유린 참상에 대해서는 학생들은 말이 없었다.


학생들은 이날 오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디도스 공격에 대해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경찰의 수사에 허점이 많은 많은 만큼 국가 기강을 흔드는 행위를 뿌리 뽑아야 한다는 서울대 학생들의 주장에 공감하지 않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해도 틀리지 않았다.

이런 맥락에서 한반도 평화를 바란다면 이른 시기에 남북대화 창구를 마련하고 대화와 협력을 통해 평화 번영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북한은 권력을 3대째 세습한 독재국가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는 반국가단체라는 사실에는 눈을 감으며 독재권력을 휘두르다 숨진 반국가단체 수장에 대해 애도를 하자는 주장이 과연 얼마나 설득력을 얻을 수 있겠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번 행위가 법 위반이라는 것은 굳이 말할 필요조차 없다고 생각한다.


예비사회인이자 지성인인 대학생은 얼마든지 사회 현상에 대해 고민하고 사회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해법을 제시할 자유를 누릴 수 있다. 그렇더라도 그 행위가 오해를 부르지 않고, 사회의 공감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정준영 기자 foxfur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