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 은행권 신용등급 급등.. 韓 은행은 '선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채지용 기자] 유럽 재정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내 은행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나타났다. 선진 주요국 은행들의 신용위험이 크게 높아진 반면 국내 은행의 상승률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친 것.


2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2010년말 이후 지난 20일까지 한국계 은행들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70% 가량 상승했다. 선진국을 비롯 신흥국 은행들의 CDS 프리미엄이 두세 배 높아진 것에 비하면 양호한 수준이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 국가 등의 부도시 손실을 보상해주는 금융파생상품으로 CDS 프리미엄이 높아지면 부도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간 국내 4대 은행의 CDS 프리미엄 상승률을 보면 하나은행 65.7%, 국민은행 70.1%, 우리은행 62.9%, 신한은행 64.6%를 기록했다. 국책은행들은 수출입은행 76.1%, 기업은행 75.4%, 산업은행 79.2%로 나타났다. 반면 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 인도 등 주요 아시아 국가 은행들의 신용위험은 크게 높아졌다.


이탈리아 최대은행인 유니크레이트은행은 192%, 프랑스 최대 은행 BNP파리바는 148% 상승했으며 세계 최대 투자은행인 미국계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는 각각 163%, 152% 올랐다.

일본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는 225% 급등했으며 인도 최대 민간은행 ICICI 147%, 중국 4대 국유상업은행인 중국은행도 125% 상승했다.


국제금융센터는 "한국계 은행들은 유로존 금융위기에서 다소 벗어나 있고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우리나라 신용등급과 전망을 종전과 같이 유지하거나 높인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내년에는 세계경기가 더 악화되면서 유럽계 은행들의 디레버리징이 불가피하지만 한국은 유로존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채지용 기자 jiyongch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