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파헤쳐야 산다, 경찰 ‘디도스캐기’에 총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지난 10·26 재보궐 선거일에 발생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홈페이지에 대한 분산서비스거부(DDoS·이하 디도스) 공격 사건에 경찰이 대응 인력 전부를 투입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민은 물론 여야 모두 주목하는 만큼 사안의 중대성도 크거니와 검·경 수사권 합의를 가다듬는 과정에서 경찰의 수사력을 입증해 낼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조현오 경찰청장은 5일 민주당 '한나라당사이버테러진상조사위원회' 소속 백원우 의원 등이 경찰청을 찾은 자리에서 지위 고하와 이념을 가리지 않고 법과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소속 경찰 26명 전원을 투입해 사건 진상의 조기 규명에 힘쓰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이 특별검사제·국정조사 카드 등을 앞세워 강하게 압박해 오는 상황에서 자칫 수사의 주도권을 내줬다간 연내 마련돼야 할 개정 형사소송법 관련 검·경 수사권 합의 내용을 담은 대통령령 제정과정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뭇매를 얻어맞을 위험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경찰은 사건을 검찰에 넘기기 전까지 디도스 공격 감행을 공모한 공모(27) 전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 비서와 강모(25) 정보통신업체 대표 등의 배후를 캐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강씨들과 달리 공 전 비서의 경우 혐의 일체를 부인하고 있지만, 최대 1500대가량의 좀비PC를 동원해 중벌의 위험을 무릅쓰고 감행된 디도스 공격이 별도의 금전적 대가나 배후없이 이뤄졌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장난으로 빚어진 낮은 수준의 우발적이고 독립적인 범행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선관위 홈페이지 전부가 아닌 투표소 변경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 등만을 특정해 공격했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며 의혹에 불을 지피는 주장마저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은 우발적인 단독범행이든 철저히 준비된 기획범행이든 부실수사 논란만큼은 막아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5일 야당 의원들이 제기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현역 국회의원의 명함이 발견됐다는 주장에 대해 경찰은 '수사가 진행중인 상황이라 공개할 수 없다'는 원칙론적 대응으로 답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