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마트러닝포럼]"스마트러닝, 인터넷 윤리교육 중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스마트러닝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인터넷 윤리 교육도 보다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스마트러닝에 따른 인터넷 사용 증가가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미리 대비하자는 얘기다.


성윤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22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아시아경제 스마트러닝 포럼 발표를 통해 인터넷, 온라인게임, 스마트폰 등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아동·청소년 등의 인터넷 중독도 심화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성 연구위원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 인구의 약 12% 이상이 상담이 필요한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있고, 이 중 아동·청소년 약 17만 명이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등 인터넷 중독 실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러닝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아동·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고 인터넷 중독 현상도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 성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성 연구위원은 "청소년 대부분은 인터넷을 오랜 시간 사용하고 나서 건강이 악화되거나 자신의 원래 생활이 파괴됐다고 응답했다"며 "스마트러닝 등 인터넷을 중요한 성장환경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이용지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마트러닝의 추진과 함께 건전한 인터넷 이용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와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성 연구위원은 저소득 계층,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등에 대해서는 인터넷 중독 해소 자원을 우선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소득 계층 자녀의 경우 전체 아동 청소년 보다 인터넷 중독률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 연구위원은 인터넷 상에서 사이버 폭력 을 접하는 청소년이 62%에 달하는 등 사이버 범죄가 심각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청소년들이 인터넷에서 욕설, 비방, 폭력 등의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고 이를 게시판, 댓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통해 확대 재생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자기기 사용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성 연구위원은 "전자파를 줄이기 위해 휴대전화 및 전자기기의 사용 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성 연구위원은 교육과학기술부를 비롯해 각 부처의 인터넷 윤리사업 추진형황을 소개하고 디지털 유해매체 대응방안에 대해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성 연구위원은 스마트시대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미국, 일본, 뉴질랜드 등 세계 각국의 사례를 통해 인터넷 윤리의 기초로서 '인성 교육'이 중요성하다고 강조했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