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대 이상 동맥색전증 환자 급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피가 굳으면서 혈관을 막아 생기는 동맥색전증 환자가 50대 이상 고연령층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 환자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06년 9121명에서 2010년 1만2244명으로 최근 5년간 34.2% 늘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기준 성별로는 남성환자가 6966명으로 여성환자(5278명)보다 1.3배 가량 많았다.


연령별 환자 추이를 보면 70대 이상이 4393명(35.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29.1%), 50대(20.8%) 순으로 50대 이상 고연령층 환자가 전체 환자의 85.8%나 차지했다.

특히 70대 이상 진료인원은 2006년 2719명에서 2010년 4393명으로 61.6%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점유율 역시 29.8%에서 35.9%로 늘었다.


혈전증이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질환을 일컫는데, 혈전색전증이라고도 한다. 혈류의 느림, 응고 과다, 혈관 손상이 원인이 되며, 색전증이 발생한 장기의 위치에 따라 동맥색전증, 정맥색전증으로 구분한다.


특히 동맥색전증은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됨에 따라 응급치료를 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거나 사지괴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때문에 혈전제거술, 스텐트 삽입술과 같은 응급수술을 통해 막힌 혈관을 뚫어주고 혈류를 신속히 정상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주형 심사위원은 "과거 색전증인 동양인들에게 잘 발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비만인구가 늘면서 고연령의 색전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 위원은 또 "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과식, 음주, 흡연 등을 삼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면서 "평소 혈류가 원활하도록 적당한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칭을 반복해 주는 것도 좋다"고 조언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