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술현장] 무슨 그림인데 3시간 넘게 줄서서 기다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6초

간송미술관 '조선5백년 인물풍속화展' 마지막 날, 350m 관람객들 장사진

[미술현장] 무슨 그림인데 3시간 넘게 줄서서 기다려? 성북초등학교 인근 간송미술관 입구로 오르는 오르막길에서 줄을 서서 관람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왼쪽)과 초등학교 반대편 담벼락까지 이어진 관람 대기중 행렬(오른쪽)
AD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30일 오전 11시 30분. 서울 성북동 성북파출소 밑으로 왼쪽으로 꺾어지는 성북초등학교 뒤 담장까지 줄서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진풍경이다.

간송미술관의 '조선 5백년 인물풍속화전'을 보기위해 기다리고 있는 관람객들이 350m의 장사진을 이루고 있는 것. 오랫동안 기다려야해 동행자들과 담소를 나누거나 군것질을 하거나, 책을 읽는 등 사람들은 기다리는 동안 무료함을 달래고 있었다.


매스컴에서 이미 보도가 된 까닭인지 전시 마지막 날인 오늘. 이처럼 관람객들이 대거 몰렸다. 주변으로는 솜사탕과 호박엿, 커피를 파는 상인들도 꽤나 보인다.

◆미술관서도 뜻밖..문화향유 욕구 높아진 까닭?= 수많은 관람객들의 방문에 간송미술관 관계자들도 뜻밖이라는 눈치다.


간송미술관 소속 오세현 연구원은 "언제부터 이렇게 우리 그림에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된 건지 모르겠지만 정말 놀랍다. 지난 5월 사군자 전시까지만 해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며 "우리 미술관에서도 앞으로 어떻게 관람객들의 편의를 돕고 더 많은 프로그램을 개발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


간송미술관에서는 무료로 일 년에 딱 두 번, 5월과 10월 2주 동안만 전시를 갖는다. 오 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전시를 관람한 관람객 수는 주중동안 5000명, 주말에는 1만명 정도가 다녀갔다. 이전까지의 전시보다 2~3배가 높은 수치다.


아이들 셋과 함께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는 주부 이 모씨는 "사실 지난주에도 오랫동안 기다려서 보긴 했지만 성인들도 많아서인지 키 작은 아이들이 제대로 관람을 못한 것 같아 다시 찾은 것"이라며 "아침 9시 반에 왔는데 아직도 2시간 동안이나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1시간은 더 기다려야 할 것 같다" 고 말했다.


경기도 안산에서 친구와 함께 전시를 보러온 30대 김 모씨는 "10시에 도착했는데 1시간 넘게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며 "평소 역사나 미술에 관심이 많아서 한번 찾아오게 됐다"고 밝혔다.


문화예술의 향유 욕구가 더 확산된 까닭일까? 아니면 성북동 조그만 미술관이 일 년에 두 번 밖에 전시를 열지 않은 희소성 때문일까? 일단 한국 고미술에 대한 관심이 예전 보다 높아지게 됐다는 건 이번 전시의 인기를 통해서도 확인된 셈이다.


[미술현장] 무슨 그림인데 3시간 넘게 줄서서 기다려? 1층 전시실 관람 모습.


◆조선왕조 5백년 역사, 인물화로 풀어낸 전시= 이번 전시는 500년 동안 조선왕조가 배출한 52명의 화가들이 그려낸 인물 풍속화 100점을 한자리에 모았다. 조선시대 안견에서 후기 이당 김은호까지, 그 안에는 김홍도, 신윤복, 장승업, 강세황, 정선 등 조선시대 미술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수많은 화가들의 작품도 구경해 볼 수 있다.


관람하기 위해서는 미술관 초입부터 2층 전시장 역시 계속 줄을 서서 기다려야 했다. 1층에서 맨 처음 마주한 그림은 이한철이 그린 고종의 생부 흥선대원군인 석파 이하응의 환갑 때 초상화다.


이어 장승업의 삼인문년(三人問年_ 세 사람이 나이를 묻다), 이명국의 어초문답(漁樵問答)이란 그림이 보인다. '어초문답'이란 어부와 나무꾼을 그린 그림이다. 전시장에서는 어초문답이란 제목인 작품들이 두 점 더 있는데 홍득구와 정선이 그려냈다. 맨발에 생선과 낚싯대를 쥐고 있는 어부와 짚신을 신고 나뭇가지를 든 나무꾼이 뭔가 재밌는 이야기를 나누는 듯 정다운 표정이다.


1층에서는 그 유명한 신윤복의 '미인도'도 만날 수 있다. 여인 초상화의 으뜸이라 여겨지는 이 그림은 아담하고 고운 기생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 미인은 가체를 사용한 듯 탐스런 얹은머리에 기장이 극도로 짧고 소매통이 팔뚝에 붙을 만큼 좁아진 저고리를 입고 있다. 무지개 치마라고 했지만 빛바랜 비단 때문에 이젠 옥색 치마를 하고 있다.


[미술현장] 무슨 그림인데 3시간 넘게 줄서서 기다려? 2층 전시실에서 작품을 살펴보는 관람객들

1층이 주로 걸개그림 같은 위에서 아래로 거는 그림들이 많다면 2층에서는 A4 크기만한 작은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책만한 크기의 그림과 그 옆에 쓰인 시 그리고 시를 구성하는 글씨가 우리 그림의 느낌을 잘 살려내고 있다. '시·서·화'가 살아있다.


작품 제목만 봐도 조선의 그림이 갖는 주제가 얼마나 풍류와 낭만을 주요하게 담았는지 알 수 있다. 김득신의 ‘어옹취수(漁翁醉睡_어부가 취해 잠들다)', 김홍도의 ‘마상청앵(馬上聽鶯_말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는다), 강세황의 '노인관수(老人觀水_노인이 물을 바라보다)', 김후신 '통음대쾌(痛飮大快_흠뻑 마셔 크게 유쾌하다)'.


이곳에 전시된 많은 그림들이 달빛과 물, 나무, 산과 같은 자연을 감상하는 선비들이나 말과 술을 소재로 한 것들이 많았다. 여기에 시간이란 요소가 더해져 빛바랜 바탕위에 옅은 색들이 되레 옛 사람의 정취를 듬뿍 전하고 있다.


지난 1966년 설립된 간송미술관은 한국 전통미술품을 주로 소장한 국내 최초의 민간 박물관이다. 문화재 수집가로 널리 알려진 간송 전형필 선생이 33세 때 세운 것이다.


[미술현장] 무슨 그림인데 3시간 넘게 줄서서 기다려? 신윤복의 '미인도'와 이명국의 '어초문답'




오진희 기자 vale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