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1월 물가지수부터 '금반지' 뺀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박재완 장관, 체감낮은 품목은 조사대상서 제외

[아시아경제 김진우 기자]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개편된 지수로 11월 물가가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1일 발표되는 11월 소비자물가부터 개편된 지수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통계청은 이달 초 9월 소비자물가를 발표하면서 투자목적으로 구입하는 금반지를 소비자물가지수 조사품목에서 제외하고, 브로치 등 장신구를 물가지수 조사 품목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삼성동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국개발연구원(KDI) 개원 40주년 기념 국제회의 '민주화와 세계화 시대 한국경제의 성과와 과제' 축사를 한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과 감각이 다른 금반지가 들어가 안 좋으니깐 (그렇게 한다)"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또 지수 개편의 영향에 대해 "플러스, 마이너스 요인이 다 있다"고 말했다.


또 박 장관은 지난주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한국은행과 유동성을 협의하겠다"고 말한 것에 대해 "원론적으로 금리라는 관점에서 유동성이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수정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6월 말에 (전망 발표를) 했는데 또 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이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장관은 이날 축사에서 "대북리스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통일재원 마련에도 고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또 "우리경제의 미래 도전과제와 대응방향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 말씀 드리겠다"면서 다음과 같이 화두를 던졌다.


박 장관은 "중장기 성장기반이 마련돼야 고용이 확충될 수 있다"면서 "서비스 산업의 낮은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관광·의료·컨설팅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서 녹색성장과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네트워크기술(NT) 등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의 이행도 착실히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이어 "소득분배구조 개선을 통해 중산층을 두텁게 하고, 기업·산업 간 균형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면서 "출산과 양육에 따른 기회비용을 줄이고 고령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높이는 동시에 공적연금의 재정안정을 통해 고령사회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동시에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비율에 유의하면서, 세입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기후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면서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녹색경제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대북리스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통일재원 마련에도 고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진우 기자 bongo7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