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00세 시대 노후는 자본시장에서 대비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금투협, 국제심포지엄 개최

[아시아경제 지선호 기자]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대비해 자본시장을 통한 노후자금 확보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금융투자협회(회장 황건호)는 6일 오후 여의도 63시티 컨벤션센터에서 '100세 시대 도래와 자본시장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국회, 정부, 학계 및 업계 관계자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마틴 펠드스타인(Martin Feldstein) 하버드대 교수의 기조연설에 이어 에드워드 화이트하우스(Edward Whitehouse) OECD 사회정책부 연금정책 본부장, 로스 존스(Ross Jones) 호주건전성감독청 부청장, 조앤 세가스(Joanne Segars) 영국연기금협회장, 신성환 홍익대학교 교수의 강연이 진행됐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노후대비수단으로서 민간금융산업의 역할이 중요하며, 자산운용에 있어서도 국공채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면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자본시장 관계자들도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황건호 금융투자협회장은 "풍요롭고 안정된 100세 시대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본시장을 통한 효율적인 자산운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퇴직연금 활성화, 장기분산투자 문화 확산, 이에 대한 정부의 세제혜택 부여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토론에서 나선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대표는 "투자위험 관리를 위한 금융투자상품 등 고령화에 대응한 실질적 금융상품 개발, 퇴직연금 운용규제 완화 및 세제지원확대 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와 국회도 100세시대의 자본시장 역할을 강조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축사에서 "노후준비자금 마련을 위한 다양한 금융상품이 개발되고 노후생활을 도와주는 금융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자산운용산업 체계를 선진화하는 등 금융시장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축사에서 나선 허태열 국회 정무위원장은 "장수사회 대비를 위해 국민, 기업, 정부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며, 자본시장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금융투자협회는 이번 국제 심포지엄을 계기로 100세 시대를 대비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의 역할이 제고될 수 있도록 장기분산투자문화 확산,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노후대비 금융투자상품 개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선호 기자 likemo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