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IFA2011]삼성전자 냉장고로 온라인 쇼핑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홍창완 부사장 "전자칩 이용한 첨단 제품의 지속 출시로 유럽소비자 마음 잡을 것"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삼성전자가 국내에서 유수 유통업체들과 손잡고 냉장고에 탑재된 LCD모니터를 통해 주부들이 장을 볼 수 있는 '주문·배달 시스템'을 조만간 선보인다.


이는 삼성전자의 통신 및 컴퓨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유럽에서도 이같은 첨단기술을 이용한 혁신 가전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시장점유율을 확대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홍창완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장(부사장)은 현지시간으로 3일 독일 베를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인 ‘IFA2011’에 참석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유럽 전통적인 생활가전 강자들은 현지 특유의 디자인 등 세세한 부분에서 삼성전자를 다소 앞서있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스마트가전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는 이들을 능가하고 있다며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홍 사장은 “유럽도 지역에 따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디자인이 다르고 오랜 역사만큼 산업인프라도 잘 갖춰져 금형기술 등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IFA2011]삼성전자 냉장고로 온라인 쇼핑한다 홍창완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장(부사장)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2011'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유럽지역 공략 의지를 밝히고 있다.
AD

그러나 그는 “삼성전자는 다양한 소재와 컬러 적용능력, 특히 스마트가전에서는 그동안 TV와 PC, 휴대폰 등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이용해 훨씬 앞선 혁신제품으로 승부를 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의 일환으로 홍 부사장은 “조만간 한국에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냉장고에서 주부들이 LCD화면으로 주문을 하면 유통업체들이 이를 배달해주는 ‘오더링(Odering) 시스템’을 시연해 보일 것”이라고 소개했다.


밀레와 지멘스 등이 이런 첨단 기능 측면에서는 삼성전자를 따라올 수 없고 삼성전자는 추가투자도 크게 필요없이 이를 활용한 첨담제품을 지속적으로 내놓는다면 유럽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 부사장은 “지난 2009년 취임 후 약 2년 동안 생활가전에서 플랫폼으로 통합작업 등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였고 모듈화를 통해 부품수도 평균 30% 가량 줄이는 성과를 얻었다”며 “폴란드 현지공장에서 유럽향 세탁기와 냉장고의 본격생산을 시작한 만큼 소기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유럽지역에서 냉장고는 약 8%대의 시장점유율로 1위지만 세탁기는 5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1위업체들의 시장점유율도 10%초반대에 머물고 있어 향후 성장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경제 침체로 인한 소비위축 우려에 대해서는 “생활가전은 꾸준히 3~5%가량씩 성장해 왔고 특히 유럽에서는 전통강호들의 시장을 잠식해가는 입장인 만큼 프리미엄 제품과 중저가제품의 균형을 잘 유지하면 얼마든지 성장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한편 스마트그리드에 대해서는 “이야기가 나온 지는 오래됐지만 정작 표준화에 대한 논의는 진전이 없다”며 “현재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파워컨트롤 등 기술은 충분히 갖춰져 있는 만큼 표준화 작업만 이뤄진다면 얼마든지 관련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했다.


단, 그는 “소비자들이 얼마나 스마트그리드를 인식하고 제품을 찾아줄까도 문제인 만큼 자율 성향에 맡겨놓으면 스마트그리드 제품 파급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