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숨 죽었던 '대통합론'..문재인 제안에 '꿈틀'

시계아이콘01분 0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뭉쳐야 산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야권의 승리 방정식이다. 1대1 구도를 만들지 않으면 현 집권 여당인 한나라당 후보를 이기기 힘들다는데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합 방정식의 큰 틀에는 이견이 없지만 각론에서는 정파별 입장차가 뚜렷하다.


큰 우산 아래 각 정파들이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단일 대오를 만든다는 이른바 '빅 텐트론', '정파등록제'는 대통합론자들의 대표적인 이론이다. 이는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대표 문성근)'을 비롯해 일부 시민사회 및 친노진영에서 주장해왔다.

정파등록제는 올해 초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동력을 잃었다. 두 진영에서는 '소통합'을 주창하면서 대통합에는 회의적이다. 진보진영의 단일 정당을 구축해 몸짓을 불려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민주당과 협상력을 키우겠다는 의도다.


이처럼 시들해졌던 대통합론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야권 지지율에서 1, 2위를 다투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대통합을 제안하면서다. 문 이사장은 "야권은 법적으로 단일 정당이 돼야 한다"고 쐐기를 박았다. 연대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야권 단일후보가 패배한 경기도지사 선거와 올 경남 김해을 보궐선거다. 야권은 단일후보를 내세우더라도 골수 지지층들이 힘을 합하는 '+' 위력이 없었다는 것을 이미 체험했다.

문 이사장은 대통합론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 정파가 정체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연합정당 형태로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당론을 강제하지 않고 정파의 색을 그대로 인정하면서 당 운영 역시 제 정파의 지분을 반영하자는 것이다.


구체적인 일정표도 제시했다. 문 이사장은 민주당의 전당대회가 예정된 11월 말이나 12월 초를 이상적인 시기로 판단했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민주당이 다른 작은 정당에 대한 진정성을 갖고 큰 우산 아래 각 정당들의 고유의 색깔을 가진 정당으로 등록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대통합론을 지지해온 손학규 민주당 대표 측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당 관계자는 "한국 정치에서 한 번도 실험해 보지 않아 풀어야할 과제들이 남아있지만 정권교체를 위해 어떤 희생도 할 수 있다는 게 손 대표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통합의 막바지 단계에 이른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민주당과는 통합이 아닌 연대의 대상"이라고 선을 긋고 있어 대통합론이 실현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