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말 '우유대란'은 없었다…이제 문제는 '우유 값'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주말 '우유대란'은 없었다…이제 문제는 '우유 값' 지난 13일 송파구의 한 대형마트 우유매대. 일부 제품들의 수량이 모자라는 모습은 보였지만 우려됐던 '우유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낙농가와 유업체간의 원유(原乳) 가격 인상 협상이 끝내 결렬됐지만 원유 공급이 재개되면서 지난 주말 우려됐던 '우유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지난 13일 밤 9시경 서울 송파구의 한 대형마트. 군데군데 일부 유제품이 비어 있는 모습이었지만 사재기 등의 풍경은 찾아볼 수 없었다.

몇몇 소비자들은 "내가 찾는 우유가 없다"면서도 타사 제품을 사가는 모습을 보였다.


주부 김선영 씨(35)는 "평소 사던 제품은 아니지만 당장 아이들에게 먹여야 하는데 어쩔 수 있겠냐"면서 "시간이 지나면 나아진다고 하니 좀 참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낙농가들의 모임인 낙농육우협회가 지난 12일부터 원유 공급을 재개하자 유업체들은 밤을 새워가며 우유 제품 생산에 매진했다.


이에 따라 주요 마트, 편의점 등 유통망에 공급되는 우유 물량도 현재 원유값 협상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마트는 현재 평소 수준의 물량을 공급받고 있다. GS25와 보광훼미리마트는 본사를 기준으로 우유 공급이 정상화됐다.


세븐일레븐은 13일 오전 한때 우유가 잘 공급되지 않았지만 14일부터는 별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소규모 슈퍼마켓이나 동네 구멍가게 등도 주말을 지나면서 우유 공급이 집유 중단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협회는 지난 13일 긴급이사회를 열고 정부의 원유 납품 단가 '130원+α' 인상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이처럼 낙농가들이 정부가 중재한 협상을 마다하고 유업체들과 개별 협상에 들어가겠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번복한 이유는 더 버티면 오히려 '우유대란의 주범'으로 낙인 찍힐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제 문제는 원유가격 인상에 따른 우유제품 가격이 오르는 점이다. 이사회에서 원유 가격 인상안이 최종 발표되면 현재 ℓ당 704원인 원유 공급 가격은 834원으로 오른다.


전례를 감안할 때 원유가가 130원 오르면 유제품 업체들은 현재 2200~2300원인 1ℓ짜리 우유 소비자가격을 300~400원 가량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유제품은 물론 우유를 원료로 사용해 만든 제빵이나 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류 가격도 줄줄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또 우유 가격의 인상은 내년 학교 급식비에도 반영될 전망이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 3월 시도교육청에 내려보낸 '2011년 학교우유급식사업시행 지침'의 급식용 우유 가격은 330원(200㎖)으로 작년과 같다. 이 가격은 내년 2월까지 적용된다.


하지만 내년에는 오른 원유(原乳)가격을 감안해 급식용 우유가격이 정해지기 때문에 학교 우유 급식가격이 어느 정도 오르는 것은 피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원유 공급 가격이 최종 결정되면 유업체들도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조강욱 기자 jomaro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