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속철 사고에 분노한 中 민심.. "썩을대로 썩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6초

고속철 사고에 분노한 中 민심.. "썩을대로 썩었다"
AD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지난 23일 중국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시 인근에서 일어난 고속철 사고를 놓고 중국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비난 여론이 연일 거세지고 있다. 중국 지도부가 여론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판 트위터인 시나닷컴(新浪, www.sina.com)의 웨이보(微博)를 중심으로 중국 정부가 사고 관련 정보를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24일 이후 3일 동안 고속철 사고는 웨이보에서 가장 많은 게시물이 올라온 주제다. 사고 후 네티즌 6만5000여명이 고속철 사고 관련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대부분 “정부의 사고 수습이 실망스럽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2년이 채 안된 웨이보에는 현재 사용자수가 1억4000만명을 넘었다. 이전에도 중국사회에 부패사건 등이 터질 때마다 비판 여론이 쏟아졌지만 오랫동안 웨이보를 사용한 이들은 이번 고속철 사고 이후 비판 수위가 전례없는 수준이라고 말하고 있다.


정부의 불투명한 사고 처리 방식을 비난하는 게시물도 수천 건이 올랐다. ‘Yan Youming’이란 이름의 사용자는 “당국의 눈에는 국민들이 세 살 짜리 어린애마냥 속아넘어갈 것처럼 보이는가”라는 글을 올렸다.

중국 정부는 거액의 배상금을 내놓아 사망자 유가족들을 달래면서 사건을 서둘러 마무리하려 하고 있다. 앞서 한 사망자 유가족이 배상금 50만위안(약 8200만원)에 합의한 것에 이어, 중국 철도부는 기본금과 보험금 등 37만2000위안의 최저 배상금에 유가족의 장례비 등 명목으로 최고 45만위안까지 더하고 신속히 서명할 경우 몇만 위안을 더 얹는 등 최대 82만2000위안(약 1억35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정부는 사고 경위에 대해서는 새로운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정부가 피해를 축소하거나 은폐하려 한다는 의혹까지 나왔다. 사고 발생 하루 뒤인 24일 중국 신화통신은 추락한 객차 안에서 시신 8구를 찾아낸 최근 집계까지 포함해 사망 자 수를 43명으로 보도했으나 중국 철도부 측은 35명이라고 발표했다. 정확한 사망자 집계에 대한 논란이 일자 저장성 당국은 26일 고속철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그간 알려진 43명에서 39명으로 정정하고 부상자 수가 192명이라고 밝혔다.


24일 구조활동 종료를 발표한 뒤 현장에서 생존한 여자 어린이를 발견하고 이후에도 추가로 시신이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또 사고 현장에서 열차 잔해를 파묻었다가 여론에 공개되자 다시 파냈다는 것도 알려지면서 당국의 엉터리 사고 뒷처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정부는 관계자 3명을 해임하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책임자를 처벌하겠다는 원칙을 거듭 밝혔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정부의 미심쩍은 사고 대응이 최근 몇 년간 공공시설 안전문제 관련 부패 사건이 끊이지 않은 것에 따른 불만에 불을 붙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철도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장거리 이동수단인데다 중국 정부가 자국 고속철도를 세계 최고 수준이라면서 대표적인 정책 성과물로 선전해 왔다는 점 역시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에 대한 배신감에 더해 국제적 망신거리로 중국인들의 자존심이 손상됐다는 분노가 터져나오고 있는 것이다.


고속철 사고에 분노한 中 민심.. "썩을대로 썩었다"

한 네티즌은 “고속열차가 번개를 한번 맞았더니 대형 추돌사고가 나고, 트럭이 지나가는 것만으로 다리가 무너지며, 마시면 신장결석이 생기는 가짜 우유까지 나돌 정도로 부패가 극에 달했다”면서 “누구도 예외가 될 수는 없으며 오늘날 중국은 천둥번개 속을 달리는 열차같다”는 글을 올렸다.


또다른 네티즌은 중국 공산당 창당 9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선전영화 ‘건당위업(建黨偉業): 위대한 부활의 서막’의 포스터와 비슷하게 철도부 관계자들의 얼굴을 편집해 붙여넣은 뒤 ‘창당 90주년 기념 : 공포의 고속철 관계자들 - 오로지 천국만이 유일한 종착지’라는 패러디 이미지를 올려 당국을 비웃었다.


지금까지 중국 당국은 반체제인사들을 비롯해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이 온라인을 통해 확산될 때마다 검열을 강화해 왔으나 아직까지 이번 사고에 대한 온라인 여론단속이 실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은 26일 언론매체를 담당하는 공산당 선전부가 각 언론사에 “사고 원인을 파헤치기보다는 구조활동에 중점을 맞춰 달라”는 보도지침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