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세계의 제조공장’으로 불린 중국이 ‘두뇌공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간 빠른 경제성장을 이뤄내 온 중국이 우수한 인력양성에 박차를 가하며 각종 점단산업에서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핵심 산업 경쟁력 또한 중국에 추월당할 우려가 있어 이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9일 ‘두뇌공장 중국, 한국을 추월하다’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연구개발(R&D)인력이 2007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했다”며 “그간 중국의 빠른 성장에 주목한 세계 각국이 이제 중국의 인재규모 및 질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류지성 연구전문위원은 “중국은 인재경쟁력 분야에서 양적·질적으로 모두 우리나라를 압도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을 강조했다.
양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R&D 인력은 229만1000명으로 한국(30만9000명)의 7.4배에 달한다. 중국의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논문 게재 수도 2009년 12만8000건을 기록,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3만9000건으로 세계 11위다.
질적인 측면 역시 중국은 세계 100위권 대학 수(공학기술 분야)가 9개인 반면 한국은 2개에 불개한 것으로 파악됐다.
류 연구전문위원은 “중국은 세계 100위권 대학 및 대학생 수가 한국보다 많아 잠재적인 인재경쟁력이 높다”며 “대학의 글로벌 연구역량을 나타내는 기초과학순위평가에서 베이징대, 칭화대, 푸단대 등 7개 대학의 상위 1% 수준 학과는 2001년 24개에서 2010년 74개 학과로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핵심 인재를 적시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분야를 선정해 우수대학에 ‘선택과 집중’의 과감한 투자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각 대학이 미래산업의 인재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소수정예 연구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 '직업교육대학', '지역산업 특화대학' 등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고민해야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 수요를 정부와 대학이 선제적으로 파악해 인재를 공급하는 '수요자 중심의 인재정책'을 실시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와 대학에 각각 '산학인재위원회'를 설치해 산업의 인재 수요 및 정책 요구사항을 상시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밖에 그는 “산업의 기술 수준별 인재 육성·확보 포트폴리오 정책을 마련하고 운영해야 한다”며 “원천기술과 관련된 고급두뇌는 국내에서 양성하되 시급한 실용 및 응용 기술은 해외 우수인재를 적극 활용하고, 과학기술 인력이 풍부한 인도, 중국 등의 인재 육성 프로그램에 한국기업이 직접 투자해 인재를 선점할 것”을 당부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