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벨트] 지금까지 어떻게 추진됐나(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과학벨트는 2005년 당시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이던 민동필 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이 과학·인문·예술계 학자 그룹 ‘랑콩트르(Rencontre?만남)’에서 ‘세계 일류 과학자들이 모여 토론 연구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공간’을 제안하며 논의가 시작됐다.


이어 2006년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이 그해 4월 ‘은하수 프로젝트(Milkyway Project)’를 만들면서 과학벨트를 그 안에 넣었다.

그 뒤 2007년 9월 한나라당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과학기술분과위원회에서 과학기술분야 대표공약으로 ‘국제과학기업도시’를 제시했다가 그해 12월 한나라당 대선후보공약집에 ‘일류국가 희망공동체 대한민국’(50쪽)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이 포함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대선후보시절 충청권 유세에서 과학벨트 충청권유치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대통령은 당시 대덕연구개발특구, 행정중심복합도시, 오창·오송단지를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만들 계획임을 밝혔다. 사업엔 3조5000억원이 들어간다.

이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만들어진 인수위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전담팀(TF)이 설치됐고 2008년 10월에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지원단이 출범했다.


2010년 1월 정부가 세종시를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수정안을 만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세종시에 넣겠다는 계획을 발표, 논란이 일었다.


그 때 정운찬 국무총리는 세종시가 과학벨트의 최적지로 세종시를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바꾸는 수정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세종시 원안’과 수정안 논란 속에서 그 해 6월에 수정안이 국회서 부결되면서 과학벨트입지가 세종시에서 전국 공모로 바뀌었다.


정부 방침이 바뀌면서 대구·경북과 광주 등이 과학벨트 유치전에 뛰어들었고 지난 달 22일 과학벨트를 유치키 위한 제안서가 교육과학기술부와 과학벨트위원회에 모아졌다.


과학벨트위원회는 전국 39개 시·군 53개의 터를 대상으로 정량평가를 해 후보지 10곳을 정했고 11일 최종결정에 앞서 5곳으로 압축, 16일 최종 발표만 남겨뒀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