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재완 재정부 장관 내정자, 선결과제는 '물가잡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박재완 재정부 장관 내정자, 선결과제는 '물가잡기'
AD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5·6 개각으로 경제팀도 박재완 신임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를 중심으로 새 진용을 짜게 됐다. 하지만 정책 기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당면 과제는 여전히 '물가 잡기'다.


이날 오전 재정부가 내놓은 월간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언급했듯 경기와 고용 회복세는 뚜렷하지만 물가 흐름은 여전히 불안하다. 4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4.2% 올랐다. 물가 상승률이 4.7%에 다다랐던 3월보다는 오름세가 한풀 꺾였지만 앞으로의 상황은 낙관하기 어렵다. 하반기 중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 줄인상이 예고돼있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오는 7월부터 원가가 오르면 전기요금도 상승하는 원가연동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전기가 원가 이하로 판매돼온 점을 고려해 원가 보전분도 추가할 뜻을 내비쳤다.


들썩이는 지방 공공요금도 골칫거리다. 정부는 500억원의 예산지원을 '당근'으로 제시하면서 지방 공공요금 동결을 요청했지만, 지방자치단체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동결에 따른 손실에 비해 정부가 제시한 인센티브가 턱없이 적다는 주장이 만만치 않다.


이런 상황 속에 이명박 대통령과 여당은 내년도 대선과 총선을 준비해야 한다. 4·27 재보궐 선거에서 드러났듯 민심 이반이 심각한 상황. 정부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민심을 수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 첫 걸음이 물가잡기다.


따라서 박재완 재정부 장관 내정자가 청문회 이후 본격적인 경제팀의 키를 쥐더라도 현 정책 기조에 큰 변화를 주기 보다는 안정적인 물가 기반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 윤증현 경제팀이 다져놓은 바탕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관리하는 역할인 셈이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