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공기관 국내업체 홀대 편견부터 교체하리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43초

김동원 IT선임기자가 만난 사람-김창곤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장

공공기관 국내업체 홀대 편견부터 교체하리라
AD

[아시아경제 김동원 IT선임기자]"시스코 IBM을 넘어 국산 네크워크장비 업체에도 공정한 기회를!"


최근 출범한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가 외산장비 일색의 국내 네트워크장비 시장의 구도를 깨뜨리겠다는 신선한 도전에 나서 주목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전화기를 모두 인터넷 전화로 대체하려는 혁신적 방안도 추진중이어서 눈길이 쏠린다.

이 같은 변화를 이끌어낸 주인공은 바로 지난 3월말 이 협회의 수장으로 취임한 김창곤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장이다. 취임 한달여를 맞은 김창곤 회장을 3일 만나 한국네트워크 산업의 문제점과 고민 그리고 미래 비전에 대해 들어봤다.


김 회장은 “국내 기관들이 아직도 외산장비만 사용하고 있어 국내기업체들에게는 입찰 참여의 기회 조차 돌아기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시스코시스템즈, IBM 등 외국네트워크 장비업체들을 겨냥해 포문을 열었다.

그는 “서울 구의동에 위치한 우정사업본부 전산소의 경우 IBM컴퓨터나 시스코시스템즈의 라우터(네트워크 중계장치) 등 지금도 외산 장비를 그대로 쓰고 있다”고 지적한뒤 “그동안 국내 네트워크장비업체들도 많이 성장한 만큼 이제는 공정경쟁을 통해 우리 기업들에도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국내 네크워크장비업체의 대표주자로는 삼성전자 KT, 다산네트웍스 등을 꼽을수 있다.


공공기관 국내업체 홀대 편견부터 교체하리라 김창곤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장



정보통신부 차관과 한국정보사회진흥원장 등을 역임한 김 회장은 현재 건국대 석좌교수와 LG유플러스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국내 네트워크업체에 강력한 기(氣)를 불어넣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김 회장은 “한 예로 정부기관 등에서 네트워크장비를 구매할 때 해당기관 담당자들이 아예 ‘시스코 라우터’ 처럼 업체 이름과 필요장비를 동시에 적어놓는 경우가 많다”며 “이같은 경우 소위 ‘알박기’라고 해서 다른 업체의 제품은 아예 비비고 들어갈 여지조차 없으니 불공정 거래가 고착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같은 분위기는 조달청 구매뿐 아니라 국가정보화사업이나 학교망 또는 행안부망 등에 들어가는 네트워크 장비 구축때도 거의 마찬가지라는 지적이다.


김창곤 회장은 이 같은 해묵은 관행을 깨기 위해 적극 나서 협회 출범 불과 보름여만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끌어냈다. 협회 차원에서 지경부와 행안부 조달청 등에 요청해 구매규격이 제대로 돼있는지 검증할수 있는 활로를 찾아낸 것이다. 즉 구매규격이 공정하게 만들어졌는지, 알박기 형태 등의 관행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은 아닌지 등등에 관해 전문가들이 직접 규격심사를 벌여 불공정 사례를 찾아내 개선할 수 있는 길을 개척해냈다는 얘기다.


특히 지경부는 우선 산하기관인 한국전력부터 올 하반기부터 규격심사위의 엄중한 검증을 거쳐 국내 네트워크장비 업체가 업체 선정시 역차별을 당하지 않도록 해주기로 약속했다고 김 회장은 귀띔했다.


김회장은 아울러 오는 6월 14-15일 코엑스에서 네트워크 솔루션 페어라는 전시회를 개최해 지방자치단체의 기존 전화망을 모두 인터넷전화로 교체한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도 추진중이다. 그는 “이번 전시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담당관이나 통신담당관들을 불러 지방전화를 모두 인터넷 전화로 교체하기 위한 준비작업”이라며 “연간 1000억원 정도의 비용절감 효과뿐 아니라 스마트워크 환경으로 근무여건을 확 바꿔놓는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방송통신위가 제 역할을 제대로 못한다고 질타하는 등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방송이라는 정치적 이슈와 순수하게 정보통신산업을 전문성을 갖고 바라봐야 하는 통신을 합치다 보니 결국 정치적으로 민감한 방송위주로 방통위원이 구성되는 등 편향성을 띠게 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미래 먹거리 부서인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를 사실상 해체해버린 것은 현 정부의 최대 패착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면서 “문제점들이 개선되고 바로 잡히는 것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중 국민소득 2만달러가 넘는 나라는 7개에 불과하다”면서 “한국인 특유의 잠재력를 발휘하면 IT코리아와 같은 신화를 또다시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김동원 IT선임기자 dw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