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깨끗한 환경’과 ‘돈벌이’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별개의 문제로 치부돼왔다. 과연 그럴까.
미국에서 발간되는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 인터넷판은 청정 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으로 돈방석에 앉은 억만장자 10인을 최근 소개했다.
포브스는 이들 억만장자가 보유한 청정에너지 관련 사업의 순가치도 산정했다. 이는 대부분 증시에 상장된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 기업의 시장가치를 의미한다.
여기 소개한 억만장자 10인 가운데 두 사람이 소유한 기업은 증시에 상장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업의 시장가치는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구해 산정했다.
리스트에서 특기할만한 것은 무려 네 명이 중국인이라는 점이다. 이는 중국이 태양광 에너지와 풍력 관련 산업의 온상으로 자리잡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크리스티 월튼=2005년 6월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소매업체 월마트 상속자인 존 월튼의 부인. 존은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 퍼스트 솔라에 일찌감치 투자했다. 태양광 패널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퍼스트 솔라의 현 시가총액은 120억 달러(약 13조 원)에 이른다. 기업공개는 2006년 단행됐다.
◆알로이스 보벤=독일 태생의 엔지니어로 1984년 터빈 제조업체 에네르콘을 설립했다. 에네르콘의 현 매출 규모는 43억 달러. 30개 국가에 에네르콘의 터빈이 가설돼 있다.
◆주궁산(朱共山)=폴리실리콘 제조업체 GCL 폴리 에너지의 회장.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패널에 꼭 필요한 재료다.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GCL 폴리의 주가는 지난 1년 사이 배로 뛰었다. 주 회장의 순재산 규모는 지난 2월 중순 24억 달러에서 최근 33억 달러로 껑충 뛰었다. 물론 GCL 폴리의 주가가 급등한 덕이다.
◆왕촨푸(王傳福)=배터리 제조업체 BYD(比亞迪)의 회장. BYD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로 명성을 얻고 있다. 2008년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BYD에 투자하자 BYD는 가만히 앉아서 엄청난 홍보효과를 봤다.
◆루벤스 오메투 실베이라 멜루=세계 최초로 에탄올 덕에 억만장자가 된 브라질 기업인.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던 가족 소유의 사탕수수 가공 공장을 브라질 최고의 사탕수수 가공업체인 코산으로 키워냈다. 코산은 지난해 메이저 석유업체 셸과 대규모 합작기업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한쥔량(韓俊良)=중국 최초로 풍력사업 덕에 억만장자가 된 기업인. 지난 1월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노벨 윈드 그룹(華銳風電科技集團)의 회장.
◆우젠룽(吳建龍)=태양광전지 제조업체 ‘저장 선플라워 라이트 에너지’(浙江向日葵光能科技有限公司)의 회장으로 홍콩에 거주한다. 선플라워는 지난해 8월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우 회장은 지난달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억만장자’ 리스트에 처음 선보인 이래 순재산이 2억 달러 늘었다. 물론 급등한 선플라워 주가 덕이다. 선플라워는 중국 동부 저장성에 자리잡고 있다.
◆아디 고드레지=인도의 억만장자. 자신과 가족이 소유한 여의도 면적에 조금 못 미치는 땅을 ‘수나바이 피로지샤 고드레지 해양생태센터’로 탈바꿈시켰다. 해양센터 방문객은 맹그로브 숲, 해양 아쿠아리움을 돌아다니며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웨이원위앤(尉文淵)=상하이증권거래소 임원 출신으로 시노벨 윈드 그룹 지분 10%를 보유하고 있다. 시노벨은 지난해 중국 국영 국가개발은행과 전략적 제휴에 합의했다.
◆비노드 코슬라=자신이 이끄는 벤처캐피털업체 코슬라 벤처스를 통해 청정 에너지 및 청정 재료 관련 40개 기업에 투자해왔다. 그가 투자한 태양열 에너지 시스템 제공업체인 ‘오스라’는 지난해 프랑스 원전업체 아레바에 매각됐다. 바이오연료 제조업체 아미리스는 지난해 후반 증시에 상장됐다. 톱밥을 디젤과 가솔린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고 있는 키오르는 최근 기업공개(IPO)를 신청했다.
이진수 기자 comm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