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본 대지진, 한국 부품·소재 산업 키울 찬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일본 업체들 전력난·생산차질·단가 상승...한국이 동북아의 부품·소재 조달 대체지로 부상 가능성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일본의 대지진이 장기적으로 동북아 분업 구조에 변화를 줘 한국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인천시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출자한 중소기업 지원 기관 '송도테크노파크'(원장 이윤)는 27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동일본 대지진이 동북아 분업구조에 미치는 영향 및 인천의 대응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지난 3월 11일 동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일본 제조업체들이 단기적인 전력난에 따른 생산 차질, 장기적으로는 대체 전력 사용 증가에 따른 생산 단가 상승 등의 상황에 처하면서 동북아 분업 구조가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그동안 부품ㆍ소재 분야 핵심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동북아 분업 구조에서 핵심 부품ㆍ소재 공급자 역할을 수행해 왔다. 실제 동아시아 주요국의 일본산 부품 소재 수입 의존율은 각각 대만 29.0%, 한국 25.2%, ASEAN 4개국 21.6%, 중국15.3% 등에 달했다.

하지만 일본의 제조기업들은 동북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 가동 중단으로 현재 전력난에 따른 생산 차질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동북아 국가들이 부품ㆍ소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의 경우 자동차 및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부품소재 조달난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치-도요타, 광치-혼다, 동평-닛산 등 중국내 합자회사의 조업이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대만도 정보통신산업의 부품을 일본에서 수입해 조립ㆍ수출해와 일부 핵심 부품의 경우 일본내 조업이 가능해질 때까지 마냥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도 단기적으로 일본 부품ㆍ소재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자동차, 전자, 철강 등 수출주력산업의 생산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또 일본 내 반핵 여론이 높아지면서 원전 추가 건설 계획이 취소되고 LNGㆍ화력 발전 등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일본 내 생산 제품의 단가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결국 중국 대만 등 동북아 국가들이 부품ㆍ소재의 조달처를 제3국으로 대체하거나 자급자족하는 등의 분업구조의 변화를 수반할 가능성이 크다.


심지어 일본 내에서 조차 상당수의 기업들이 생산단가의 상승과 위험분산을 위해 주요 부품ㆍ소재 제조시설을 제3국으로 이전하거나 일본 자국내 조달체계를 제3국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주요 핵심부품기술에서 일본과의 기술 격차가 크지 않은 한국이 대체 공급처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적극적으로 대비해 반사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한국의 강점은 대만, 중국에 비해 기술수준이 앞서 있어 일본의 부품소재를 더 빨리 대체할 잠재력이 높으며, 이를 반증하듯 일본 대지진 이후 대만의 증시는 하락한 반면 한국의 증시는 상승했다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특히 인천의 경우 국제공항ㆍ항만이 위치해 있는 우수한 물류 여건을 바탕으로 동북아의 부품ㆍ소재 공급지로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산학연 혁신 클러스터 조성ㆍ연구 인프라 구축 강화, 부품ㆍ소재 산업 집적화단지 조성을 통한 부품 산업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등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강승우 송도TP 산업정책실장은 "일본내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이전 수요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일본, 중국, 대만 등 동북아 주요 국가들의 조달 체계 변경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반사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