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 고객 배신한 저축은행의 부도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부산저축은행이 지난 2월 영업정지되기 전날 마감 이후 은행의 임직원들이 자신의 친인척이나 잘 아는 일부 고객의 예금을 몰래 빼준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저축은행 계열사와 보해 도민 등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을 모두 합하면 1000억 원이 넘는 돈이 영업정지 1~2일전 마감후 이처럼 편법 인출됐다고 한다. 영업정지가 되면 돈을 떼이거나 수개월간 묶일 가능성이 있자 임직원들이 자신과 가까운 고객 돈을 슬쩍 빼낸 것이다.


금융당국이 이들 저축은행에 영업정지를 내린 것은 부실로 인해 정상적인 영업이 어렵다고 보고 뱅크런(bank run: 대량의 예금인출사태)에 따른 은행 도산을 막아주기 위해 취한 조치다. 그런데 임직원들이 내부 정보를 이용해 영업이 끝난 후 예금을 빼낸 것은 한마디로 그들의 도덕성이 어디까지 떨어졌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갑작스런 영업정지로 발을 동동 굴렀던 수 십 만 명의 고객들은 뒤늦게 밝혀진 이런 저축은행 임직원들의 배신에 기가 막히고 큰 분노를 느꼈을 것이다. 금융기관의 생명인 고객의 신뢰를 외면한 이들을 어떻게 금융인이라 부를 수 있겠는가.

금융감독원은 편법으로 돈을 빼낸 임직원들을 뒤늦게 검찰에 고발했다. 서둘러 예금을 인출하느라 실명확인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이 문제라지만 그런 정도의 처벌로 끝날 게 아니다. 금융기관에 다시 발을 붙이지 못하게 해야 한다. 또 경영진이 VIP 고객들의 예금인출을 방조했거나 조장했을 가능성도 있는 만큼 이 부분도 수사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의 책임도 적지 않다. 얼마나 허술했으면 저축은행 영업정지 정보가 사전에 새나갔겠는가. 또 영업정지 당시 부산저축은행에는 감독원 직원 3명이 파견되어 있었다고 한다. 감독원은 이들이 편법 예금 인출 사태를 감지하거나 통제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으나 납득할 수 없는 말이다. 사실이라면 능력부족이며 직무유기다.


그렇지 않아도 부실 저축은행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금감원 직원들이 최근 줄줄이 구속되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도덕한 대주주나 경영진과 결탁한 감독기관의 비위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도 최근 청문회에서 전임 금감원장은 "저축은행의 잘못된 영업전략 때문"이라고 책임회피만 했다. 먼저 손대고 쇄신할 곳은 금감원이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