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관진국방, 전(前) 육군 중앙수사단장 투서 사건 재조사 지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전(前) 육군 중앙수사단장의 횡령의혹 투서 사건이 재조사를 시작한 것으로 6일 확인됐다. 군내 자체조사에서 지난해 무혐의로 결론내렸지만 김관진 국방장관이 직접 조사지시를 내렸기 때문이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전날 오후 국회 남북관계특별위원회에 참석한 뒤 청사로 돌아와 인사복지실장의 건의를 받고 감사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공금에 대한 유용과 횡령이 있었는지 감사를 통해 정밀하게 밝혀야 한다"며 "조그만 의혹도 없도록 감사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서사건은 지난해 말 육군참모총장에게 투서가 접수되면서 시작됐다. 투서는 무기명으로 같은 해 군 장성진급 인사 때 진급한 이모 예비역 준장이 2007∼2008년 수방사 헌병단장(대령) 시절 1억2000여만원의 부대운영비를 횡령해 백화점 상품권 등을 구입, 진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위 장성들을 상대로 로비를 했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군은 처음 육군참모총장에게 투서가 접수된 지난해 11월 자체 조사를 통해 '혐의 없음' 결론을 내렸고 지난 1월 재차 김 장관에게 투서가 접수되자 국방부 조사본부가 조사를 진행했다.

'투서자를 색출하라'는 당시 김 장관의 지시에 따라 조사본부는 지난 1월말 투서자가 이 준장의 헌병 병과 후배인 황모 중령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으나 이 준장이 '전역지원서를 제출하자 투서에서 제기된 의혹의 시비를 가리지 않은 채 내사 종결 조치했다.


이 준장은 결국 지난 2월 중순 전역했으나 군 안팎에서는 투서 내용을 둘러싸고 군의 인사문란과 도덕적 비리를 쏟아내는 '판도라의 상자'가 될 것이라는 등의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군 관계자는 "조사본부가 애초에 이 준장의 전역과 관계없이 조사를 철저히 해서 제기된 모든 의혹을 밝혔어야 했다"며 "이제라도 빨리 조사가 이뤄져 시비를 밝히고 군이 불필요한 오해를 사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