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돌아온 정운찬 위원장 "초과이익공유제, 적극 논의하겠다"(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돌아왔다. 지난 21일 대통령에게 사퇴의사를 전하며 동반성장의 중요성을 역설한 지 불과 일주일만이다. 28일 정 위원장은 동반성장위원회 제4차회의를 열고 "위원회가 국민의 지지와 성원에 보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변함없는 지지를 보내주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최근 정재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초과이익공유제와 관련해 "재계를 비롯해 일부 정부부처에서도 비판한 걸 보고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우리 모두 힘을 합해 추진해 볼만한 좋은 모델이며 지혜를 모으면 실현가능하다"고 28일 말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하는데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나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 등 정부여당에서도 비판하고 있지만 여전히 논의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정 위원장은 "초과이익공유제는 대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기반을 확충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제시한 것"이라며 "이익을 강제적으로 나눠주는 안이 아님에도 일부에서 왜곡, 폄훼하는 일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논란은)아직 사회적으로 장애요인이 많다는 반증"이라며 초과이익공유제를 비롯해 각종 동반성장 대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정 위원장의 이날 회의 참석이 관심을 모은 이유는 향후 거취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초과이익공유제를 비롯해 동반성장 대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기업과 정부측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정 위원장은 급기야 "일하지 말라는 의미냐"며 사퇴라는 배수의 진을 쳤다. 최근 며칠간 공식석상에서 동반성장과 관련해 일절 발언하지 않았다. 최근엔 '신정아 변수'도 등장했다. 신 씨는 최근 출간한 자서전에서 정 위원장 실명을 거론하며 "총장 재직 시절 미술관장을 제안하는 등 지분거렸다"고 폭로했다. 사실이든 거짓이든 정 위원장이 동반성장 대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동력을 잃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정 위원장은 이날 "총장으로 일할 당시 학교나 개인의 명예를 훼손할 만한 일을 한 적이 없다"며 "혹여 그러한 일로 위원회 활동이 위축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씨를 직접 언급하거나 동반성장위원장직을 유지하는 일에 대해 직접 언급한 건 아니지만 신 씨일과 무관하게 위원장직을 변함없이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지난 3차회의와 달리 대기업측 위원 대부분이 참석해 그간의 우려를 덜었다. 이날 회의에는 노병용 롯데쇼핑 마트사업부 사장을 제외한 대기업측 위원 8명이 전부 참석했다. 노 사장은 중국 출장 일정이 겹쳐 참석하지 않았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정 위원장을 포함해 대중소기업측 위원이 19명, 학계 등 전문위원이 6명 등 총 25명이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게 원칙이다. 위원회 성격상 대리참석이 불가능하며 이날 회의에서는 대기업측 위원인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을 대신해 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이 참석했다. 이 부회장은 "이번 회의부터 최 부회장 대신 참석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출범 당시 대기업측 위원으로 참여했던 조기행 SK텔레콤 사장, 조준호 LG 사장은 지난 회의에서 김준호 SK텔레콤 사장, 남영우 LG전자 사장으로 교체된 바 있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