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창동 등 외곽 8개 지역 광역거점으로 육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서울시, 창동 등 외곽 8개 지역 광역거점으로 육성 위치도.
AD

[아시아경제 문소정 기자] 서울시가 창동 등 외곽 8개 주요지역을 수도권 중심거점으로 특화·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서울시는 서울의 외곽에 위치하면서 경기지역 도시들과 인접한 주요 지역을 수도권 일대 광역생활권 차원의 중심지로 그 기능과 역할을 강화시킬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현재 대규모 택지개발사업과 신도시건설 등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거지역은 확장되고 있으나 고용기반이 취약해 서울 도심으로의 장거리 통근으로 교통문제가 심화되고 지역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도심지역과 수도권 및 주변지역을 연계하는 주요지역에 고용기반을 강화하고 도심 내부로 유입하는 과다한 교통을 흡수해 직주근접형 도시를 실현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상지로는 창동·상계, 연신내?불광, 마곡, 문정·장지, 천호·길동, 망우, 대림·가리봉, 사당·남현 등 8곳이 검토되고 있다.


서울시는 구체적 계획수립을 위해 오는 4월 연구용역을 착수해 2012년 상반기까지 '수도권차원의 공간구조 개편을 위한 광역거점 특화·육성방안'을 마련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지역에 대한 기초조사 및 여건분석을 바탕으로 수도권지역과 유기적으로 상생·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특화·육성 방안을 마련한다. 중심지기능 강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방안, 가용지를 활용한 전략사업 등도 함께 검토된다.


계획수립 과정에서는 시민, 전문가, 서울·인천·경기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용·검토해 계획을 탄력적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수도권 메갈로폴리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같이 참여하는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통한 협력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서울시가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대표적인 3곳의 기본구상은 다음과 같다.


창동·상계 지역의 경우 의정부와 동두천으로 연결되는 서울 동북권의 중심지로 육성하는 방안이다. 동북권은 인구 350만명으로 서울시 5대 생활권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경기 북부 인구 150만명을 포함하면 인구 500만명 규모지만 제대로 된 중심지가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공공부지를 활용해 산학연의 벤처기능 등을 집적하고 상업·업무기능을 확충해 생활교류중심기능 및 쇼핑·문화기능과 연계된 신경제거점으로 개발한다.


연신내·불광 지역은 고양, 파주로 연계되는 거점으로 불광 역세권 개발과 고양의 영상문화 유통기능을 연계해 서북권의 신생활 경제중심지로 육성한다. 노인문화시설, 공연장, 전시장 등 복지문화기능을 도입하고 업무·상업공간을 확충해 중심지기능을 강화한다.


문정·장지 지역은 성남, 용인 등 수도권 동남부와 위례신도시 및 주변지역을 서비스하는 미래형 복합도시로 조성한다. 업무, 연구, 생산, 물류기능이 복합된 비즈니스 파크가 들어서게 될 문정지구를 활용해 강남의 IT산업 기반의 업무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업무시설 유치를 검토한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광역거점 도시가 발달되면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지역균형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협력을 통해 상생·공존할 수 있는 도시·경제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수도권의 광역경제 협력체계가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소정 기자 moons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