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터뷰] 진익철 서초구청장 "스마트행정 통해 스피드행정 실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진익철 구청장 출범 이후 서초구 행정 스마트행정으로 바뀌어...'주민 이익 위한 행정 철학' 때문에 가능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서초구청에는 직원들도 아이패드를 들고 다니면서 업무를 본다.


과장급 이상에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지급해 업무 보고도 한다.

직원들 손에 종이보고서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 때문에 연간 4억~5억원 정도 나가던 복사 비용(복사용지와 토터 등)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됐다.


모두가 진익철 구청장의 ‘스마트행정’ 철학 때문에 가능했다.

진 구청장은 민선5기 서초구청장이 되면서 ‘종이 없는 행정’을 선언하면서 '스마트행정'을 펼치겠다고 주창했다. 곧 바로 과장급 이상 간부들에게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지급했다.


이후 서초구는 전국 최초로 지역내 1만7500개 건물 번호판에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QR코드를 부여했다. 최근에는 주정차 위반 과태료 영수증에도 QR코드를 넣는 등 주민위주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 뿐 아니다. 트위터를 통해 휴양소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정기 간행물도 전자북에서 볼 수 있도록 했다.

[인터뷰] 진익철 서초구청장 "스마트행정 통해 스피드행정 실현" '스마트행정' 전도사란 별명 가진 진익철 서초구청장은 '스마트행정'을 통해 '스피드행정'을 펼침으로써 결국 주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행정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D


주민들은 생활하다 불편한 사항을 발견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곧 바로 구청에 신고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진 구청장의 스마트행정에 대한 열정 때문에 가능했다.


기자가 15일 오후 5시 인터뷰를 위해 구청장실을 찾았을 때 그는 구청장실에 설치된 TV 화면을 보면서 전자 결재 상황을 시연해 보였다. 교통계약직 채용공고 등 9건 결재를 본 후 곧 바로 전자결재했다.


진 구청장은 “서초구청 직원 중에는 구청장에게 종이 서류를 들고와 결재를 요청하는 경우는 없어진지 오래다”고 자랑했다.


진 구청장은 전자 결재 뿐 아니라 현안회의 때도 아이패드를 보면서 서로 보고하고 토론을 하는 식의 스마트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같이 진 구청장이 스마트행정에 열을 올리는 것은 다름 아닌 주민 편의 위주의 ‘스피드행정’을 펼치려는 열정 때문이다.


진 구청장은 “공직자들이 첨단 기기를 통해 스마트를 행정을 펼치는 것은 결국 주민들에게 빠른 스피드행정을 펼쳐 이들에게 이익을 돌아가게 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료제가 갖는 계층제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두가 참여해 투명하게 토론하는 스마트행정을 펼쳐야 ‘스피드행정’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진 구청장은 강남역 부근에 건립돼 사용 승인을 마친 GT타워의 예를 들었다.


그는 “GT타워 사용승인(준공검사) 신청이 들어왔을 때 관련 부서장이 모두 참여하는 현안회의를 열어 토론을 통해 그 자리에서 문제를 해결했다”면서 만약 주무 공무원이 관련 과와 협의한다고 시간을 끌어 공기내 준공을 맞추지 못할 경우 시공사는 발주처에 하루 9000만원의 지체보상금을 지불해야 하는 큰 일이 생기게 된다고 소개했다.


이처럼 진 구청장이 스마트행정에 목숨을 건 것은 다름 아닌 주민에게 도움을 주는 행정을 펼치겠다는 나름의 철학 때문이다.


진 구청장은 서울시 환경국장을 그만 두고 지난 2005~2006년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공부할 때 도서관에서 책 한 권을 빌리려고 했을 때 미국 학생들에게 도움을 받았던 경험을 설명하면서 첨단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지 못하면 결국 주변에 불편을 주게 된다는 경험을 설명하기도 했다.


서초구의 '스마트행정'이 어디까지 진화할 지 주목된다.




박종일 기자 drea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