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희원(LG전자)-윤부근(삼성전자), 3DTV 독설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권 사장 "셔트글라스방식은 1세대, FPR이 차세대" vs 윤 사장 "편광식은 70년 전 방식"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지난 2003년 4월, 구본준 당시 LG필립스LCD 사장(현 LG전자 부회장)은 일본 디스플레이 전시회에서 삼성을 전쟁에서 패한 전범(戰犯)으로 표현하는 등 거침없는 발언으로 업계에 파문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삼성의 5세대 LCD라인 가동 지연 등에 관련된 언급이었지만 구 사장의 '독설 파문'은 결국 삼성에 사과를 하고서야 잠잠해졌다. 이후 두 회사는 기술논쟁 과정에서 원색적인 상호비방을 자제해 왔다.

그러나 결국 3D기술을 놓고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간에 흐르던 냉각기류가 '제2의 독설파문'으로 비화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구 부회장이 LG전자에 새로 몸 담은 지 약 4개월만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3D기술 뇌관을 터뜨린 쪽은 신제품 발표회를 삼성전자보다 하루 앞선 지난 16일 개최한 LG전자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권희원(LG전자)-윤부근(삼성전자), 3DTV 독설戰 권희원 LG전자 부사장
AD

권희원 LG전자 부사장은 삼성전자의 액티브 셔터글라스방식의 3DTV를 '1세대'라고 못 박았다. 자신들이 내놓은 필름패턴 편광안경식(FPR)을 2세대로 정의하며 삼성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차세대 3DTV는 FPR방식으로 가능하며 셔터글라스방식은 비싼 안경가격, 시야각 등을 고려할 때 여러명의 가족구성원이 함께 즐기기 힘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삼성전자의 자존심을 치명적으로 건드린 것은 권 부사장이 삼성전자를 측은하게 표현한 대목이다. "삼성전자가 FPR방식으로 따라와야 할 텐데, 아마 안 따라 올 거다"란 우려 아닌 우려를 표한 것이다.


권희원(LG전자)-윤부근(삼성전자), 3DTV 독설戰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

관련 소식을 접한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 등 주요 임원들은 17일 2011년형 삼성3D스마트TV 발표회에 맘 먹고 나온 듯 LG전자에 십자포화를 쏟아냈다.


윤 사장은 "편광방식 3D가 나온 때가 1935년인데 이후 기술 발전도 없고 가격을 낮추려다보니 품질은 더 떨어졌다"고 포문을 열었다. 70년 이상 된 기술을 차세대로 한다니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그는 '내가 하면 로맨스이고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표현을 인용, LG전자와의 기술논쟁 역사를 거슬러 올라갔다.


LEDTV가 출시됐을 때 삼성전자가 패널 주변에 LED를 설치해 가격을 낮추면서도 뛰어난 화질을 구현하는 엣지형 방식을 개발하자 LG전자는 패널 전체에 촘촘히 LED를 넣은 직하형을 내세워 삼성전자 제품이 풀LED가 아니라며 평가절하했다는 것이다.


윤 사장은 "판매결과를 보면 엣지형 LEDTV의 완벽한 승리"라고 밝혀 LG전자의 주장은 허언이었음을 시사했다. LG전자가 2009년 편광방식을 택했다가 다시 다음해 셔터글라스를 도입하고 재차 올해는 편광방식이 마치 최고의 기술인 양 주장하는 것은 표리부동하다는 지적도 내놨다.


윤 사장은 LG전자가 받았다는 각종 인증서에 대해서도 "자신이 알기로는 경쟁사가 받았다는 '플리커(깜박거림) 프리' 인증기관은 그런 역할을 하는 곳이 아닌데 일부러 졸라 '우는 놈 젖 더 준다'는 식으로 받아낸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과 LG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인데 직설화법을 동원한 상호비방은 쌍방간의 이미지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며 "철저히 판매량 수치에 따른 객관적 평가가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