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순이익 대규모 적자…일부는 여전히 PF대출 비중 높아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금융당국은 이달 말까지 모든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결산 실적을 바탕으로 구조조정 작업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관건은 지난달 초 삼화저축은행에 이어 추가로 영업정지를 받는 곳이 나올지 여부다. 금융당국은 삼화저축은행 외에 영업정지를 받는 곳은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조만간 금융당국이 '2차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몇몇 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감독기준에 못 미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비중이 70%에 달하는 곳도 있어 금융당국이 이들의 처리 여부를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일단 저축은행업계의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해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과 시중은행 및 정책금융공사를 통한 신용공여(크레디트라인)를 활용할 방침이다.
예보기금 공동계정을 통해 10조원을 마련하고 신용공여를 통해 총 3조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지난해 정부가 마련한 공적자금인 구조조정기금 5조원도 이달 임시국회에서 통과되면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이용될 수 있다.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는 예보기금 공동계정 방안이 오는 18일 열릴 예정인 임시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원들을 설득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시중은행 및 정책금융공사에서 각각 2조원 및 1조원의 신용공여를 지원받아 예금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축은행에 건물 및 대출채권을 담보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직까지는 유동성 지원을 요청한 곳은 없지만 예금 이탈이 가속화될 경우를 대비해 가용 자금을 확보해 놓으려는 것이다.
현재 저축은행중앙회가 보유하고 있는 예치금(지급준비금) 중 2조원 가량을 유동성 지원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해 총 20조원의 자금이 갖춰지는 셈이다. 물론 이 자금이 모두 투입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자금을 재빨리 지원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놓는 것이다.
주요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말 결산에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데다 예금이 대거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감독기준에 간신히 턱걸이를 할 정도로 내려가 추가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고 있다.
16일 저축은행업계 및 금융당국에 따르면 주요 26개 저축은행의 2010회계연도 상반기(2010년 7~12월) 순이익은 3854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전 회계연도 1698억원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한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로 충당금을 많이 쌓았기 때문이다.
예수금도 대거 빠져나갔다. 지난해 6월말보다 무려 3426억원이 빠진 것이다. 올 초 삼화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면서 예금 이탈은 더욱 심해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26개 저축은행의 평균 BIS비율도 지난해 말 기준 8.74%로 같은 해 6월말보다 0.18%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부산저축은행은 BIS비율이 5.13%를 기록해 감독기준인 5% 대로 내려갔다. 계열사인 부산2저축은행도 BIS비율이 2.83%포인트 급락해 6.00%를 나타냈다. 이외에 대영저축은행도 BIS비율이 2.99%포인트나 하락한 6.02%였다.
아직 반기 결산 실적을 공시하지 않은 저축은행 중에는 BIS비율이 감독기준에 못 미치는 곳도 일부 있을 것으로 보여 금융당국의 추가 구조조정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해 BIS비율이 감독기준에 미치지 못해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았던 몇몇 저축은행들의 경우 증자 등을 통해 자본확충에 나섰지만 여전히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업계는 시장의 불안감을 잠재우기 위해 애쓰고 있다. 지난 15일 저축은행중앙회와 서울 소재 저축은행장들이 함께 모여 업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가장 시급한 문제인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 문제의 국회 처리를 위해 힘쓰고 예금 이탈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민규 기자 yushi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