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에서 전세비율 가장 높은 곳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서울시에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대문구로, 서울에서 유일하게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세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강동구로 35.6%에 불과했다.


전세비율이 높다는 것은 매맷값보다 전셋값 상승폭이 크다는 것으로 주택 구입 수요에 비해 전세 수요가 많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5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21일 현재 서대문구의 전세가율은 50.9%로 전셋값이 매맷값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는 서울지역 평균 41.7%보다 9.2%포인트 높은 수치다.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50%를 넘은 곳 역시 서대문구가 유일했다.


이어 관악구가 48.9%로 2위를 기록했고 다음으로 ▲중랑구(48.7%) ▲동대문구·성북구(48.4%) ▲중구·구로구(48.1%) ▲종로구(47.9%) ▲금천·동작구(47.4%)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강동구의 전세비율은 35.6%로, 서울 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또 고가 아파트와 재건축 대상이 많은 강남·용산권역 역시 최근 전셋값 강세에도 전세비율이 40%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별로는 강남·용산구가 35.8%를 기록했고 서초구와 송파구는 각각 38.1%, 38.3%였다.


경기도(평균 45.6%)에서는 평택시의 전세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고 오산시(52.7%), 수원시(52.6%), 안성시(52.4%), 이천시(52%), 의왕시(51.8%), 군포시(50.8%), 광명시(50.4%) 등 전체 25개시 가운데 10개시가 50%를 넘어섰다.


또 1기 신도시 중 전세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산본(52.3%)이었고 평촌도 50.4%로 절반을 넘어섰다. 신도시 중 매맷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당(42.1%)과 일산(43.9%)은 전세비율이 평균(45.1%) 이하였다. 재건축 대상 아파트가 몰려 있는 과천시의 전세비율도 32.8%였다. 이는 서울 포함 수도권을 통틀어 전세비율이 가장 낮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전세비율이 높은 곳에서는 전세 수요가 매매로 전환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어 전셋값 강세가 매맷값 변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관악구 봉천동 동아타운, 도시개발 아파트 단지와 구로구 구로동 삼성래미안 등지는 연초부터 중소형 아파트의 전세난이 심화되자 전세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이 매매로 돌아서고 있다"며 "전셋값이 고공행진을 계속한다면 매매로 전환되는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