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 20일… 피해규모 ‘눈덩이’ 축산농가 ‘몸살’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지난해 11월28일 경북 안동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제역이 발생 50일을 맞았지만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정부는 국민들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구정 전에 방역 성과를 내겠다는 방침이지만 백신접종과 방역활동 외에는 기댈만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구제역 경보단계를 최상위 수준인 ‘심각’단계로 격상하고 범부처가 참여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한지도 20일이 됐다. 당시 중앙본부장으로 임명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구제역이 축산 밀집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중앙과 지방이 범정부 대응체계를 중심으로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민족 대명절인 구정을 코앞에 둔 지금으로서는 전라도와 경남 등 청정지역의 방어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매몰되는 소·돼지 200만마리
중대본에 따르면 17일 오전 현재 매몰대상 가축수는 4148개 농장 198만9908마리로 이 가운데 170만1487마리가 땅에 묻혔다. 돼지는 전국에서 사육되고 있는 990만6000여마리 가운데 18% 정도인 185만2688마리가 매몰됐으며 소는 337만여마리 가운데 4%에 해당되는 13만289마리가 살처분됐다.
확산세로 살펴보면 구제역 바이러스는 그야말로 날개를 단 듯 전국으로 퍼져갔다. 지난해 11월28일 방역당국은 경북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에서 구제역을 최초로 확인한 후 해당농가와 반경 3㎞내의 가축 총 5500마리를 살처분했다. 하지만 구제역은 하루만에 인근 서후면으로 이동했으며 안동시를 전멸시킨 뒤 예천과 영주시로 확산됐다.
발생 보름여만인 12월14일에는 국내 최대의 양돈 밀집 지역인 경기도로 넘어왔다. 양주시와 연천군을 찍고 15㎞ 넘어에 있는 파주시를 시작으로 남양주시, 고양시, 가평군, 연천군, 포천시 등을 차례로 집어삼켰다.
이에 정부는 경기지역에 대한 백신접종을 확대했지만 때는 이미 늦은 상황이었다. 실제 경기도의 경우 지금까지 1300여개 농장에서 소와 돼지 100만여마리가 매몰처리됐다.
구제역과 거리가 멀어 ‘청정지역’으로 꼽히던 강원도 역시 피해지역으로 선포됐다. 지난달 21일 강원 평창군의 구제역 의심신고가 양성으로 판정났다. 특히 강원도에 발생한 구제역은 한파를 등에 업고 더욱 빠르게 확산됐다. 평창군의 구제역은 반나절만에 화천군으로 이동했으며 춘천시와 원주시 그리고 횡성군, 철원군, 홍천군 등을 닷새만에 오염시켰다.
◇사상최대 피해액 ‘2조원’ 코앞
문제는 이같은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위기대응 경보를 심각으로 끌어올리고 중앙재난안전본부를 설치한지 20여일을 넘겼지만 매몰대상 가축수는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백신접종 지역을 확대하고 종돈과 모돈까지 백신을 투여했음에도 효과를 보지 못했다. 급기야 정부는 지난 주말부터 전국의 모든 소와 돼지에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마지막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러나 백신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2주가 소요된다는 점, 현재의 방역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경남과 전남·북의 방어선을 지키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로 전북의 경우 선제적 예방차원에서 2개 농장 총 1만2154마리가 매몰처리돼 피해는 이미 발생한 상태다.
피해액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매몰가축에 대한 보상비를 비롯해 매몰지역의 상수도 설치와 방역비, 특별교부세, 축산농가 생계안정비 등이 1조3000억원에 달한다. 66년만에 구제역이 발생했던 2000년 이후 총 4번의 구제역을 치르면서 발생한 총 피해액 6000억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더욱이 당장 필요한 백신을 수입하는데만 1500억원이 소요되고 구제역이 종료된다 하더라도 축산농가에 대한 각종 지원성 자금이 추가 투입되는 점을 감안할때 총 피해규모 2조원을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
◇축산업 뿌리 ‘흔들’
50일만에 전국을 초토화시킨 구제역은 축산업의 기반을 흔들고 지역경제를 마비시켰다.
최초 발생지인 경북의 한우산업과 최대 양돈시장인 경기지역은 이미 ‘괴멸’상태다. 특히 한우는 송아지를 새로 들여오더라도 2~3년은 키워야하고 번식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암소 역시 4~5년이 소요돼 평년의 출하량을 회복하려면 최소 2년 이상은 필요하다.
2000년과 2002년 발생한 구제역 파동때도 대한민국 ‘한우 명가’의 자존심을 지켰던 강원도의 피해도 만만치 않다. 우선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던 횡성 한우와 대관령 한우 등 한우 브랜드의 명성은 직격탄을 맞았다.
이 결과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수입량은 빠르게 늘었다. 관세청에 따르면 12월 한달동안 돼지고기의 수입은 전월대비 15% 늘었으며 쇠고기 역시 10% 가까이 치솟아 수입단가마저 전년대비 50% 끌어올렸다.
지자체도 행정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해마다 열리던 겨울 지역축제는 이미 90% 이상이 취소된 상태며 관광객 역시 크게 줄어 지역경제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
한편 일부 지자체는 현재 축산시스템 자체를 재정비하는 중이다. 국내 한우 사육 1위를 고수하던 경북과 지역 가축의 70%가 사라진 김포는 이번 구제역 사태가 진정되면 새로운 방역시스템과 축산농가 지원책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