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동결과 인상을 둘러싸고 팽팽했던 분위기가 금리인상으로 결론났다. 이번 금리인상에 따라 충격파가 가장 큰 곳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이다.
부동산 PF사업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 데다 지난해 극심한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겹쳐 이중고를 겪었다.
올해 본격 도입된 국제회계기준(IFRS)도 부동산 PF사업을 위축시킨 요인이다. IFRS의 도입으로 그동안 부외부채(장부에 포함되지 않은 부채)로 잡힌 PF사업장의 지급보증이 부채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용산역세권 사업이 지급보증 여부를 놓고 건설부문 최대 출자자인 삼성건설과의 심각한 마찰을 빚으며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까지 언급했던 것도 경기침체와 IFRS 등의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것이었다.
설상가상 이번 기준 금리인상으로 조달금리까지 올라가 벼랑 끝으로 몰렸다는 평가다. PF개발사업의 PF대출 금리는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결정된다. 당장 조달금리의 기준이 되는 CD금리가 오르면 PF대출 금리도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금리가 인상되면 PF 사업의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한다"며 "용산역세권개발사업 판교알파돔 등 대형 프로젝트의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가뜩이나 금융당국이 '부동산 PF부실채권 정리업무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은행들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금리까지 올라 도무지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며 "우량 PF사업도 씨가 마를 판"이라며 답답해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대로라면 자칫 주택공급 부족 사태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기존에 대형 아파트 단지 등을 공급할 때 자금책이었던 PF 방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고 있는 탓이다. 이미 구조조정 명단에 오르내리는 건설사들은 PF 사업장을 정리하는 상황이다.
한 시중은행 부동산팀장은 "부동산 PF가 위축된다면 부동산 거래가 늘어도 공급은 부족할 수 있다"며 "우량 PF사업을 활성화시킬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