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구제역 백신접종에 가축 농민들은 울상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한 달 넘게 이동 금지…우시장 폐쇄로 판로까지 막혀 중간상에 헐값 처분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한 달을 아무 것도 못 혀. 소를 내다 팔 수 있나. 사 올 수 있나. 매달 거세한 소 한 두 마리씩은 우시장으로 나가야 농장이 돌아가는데 유통이 안 되니까 미칠 노릇이야. 아이들 대학등록금을 정부가 대줘? 농장 돌리는 데 얼마 들어가는 지 알아?"


연기군의 한 농장주인은 구제역이 천안서 생겼는데 연기까지 예방백신을 놓는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집 떠나 도시에서 대학 다니는 두 아들에게 들어가는 돈만 월 100만원이 넘는다. 농장운영에 인건비까지 해서 300만원이 넘어간다.

집안 살림살이까지 생각하면 머리가 아프다. 백신 맞기 이틀 전에 소 판 돈으로 버티고 있다. 전국 축산농가 대부분 사정은 마찬가지다. 충남의 한우집산지 홍성은 문제가 더 심각하다.


우시장이 폐쇄될 때는 조금만 기다리면 되는 줄 알았다. 그러면서 아쉽지만 농장을 돌며 소를 사들이는 중간상들에게 제값보다 싸게 넘겼다. 하지만 구제역 예방백신을 맞은 소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2차 까지 맞아야 해 한 달은 이동조차 할 수 없다.

중간상인들도 백신을 맞은 소는 손사래를 친다. 그렇다고 백신을 맞았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 강원도 횡성에서 백신을 맞은 소들이 구제역에 걸렸다거나 경기도 파주에선 백신을 접종한 한우가 돌연사하거나 사산하는 등 백신 부작용이 의심된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농민들 주름살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돈이 급한 농민들은 피가 마를 수밖에 없다. 거래시세에 100%로 보상을 받을 수 있기에 구제역 발생 주변지역으로, 땅에 묻은 농장주들이 부럽다는 이도 있었다. 때문에 '백신접종을 반대'하는 축산농가들 목소리가 높다. 백신접종은 지난 2000년에 긴급처방으로 예방접종한 뒤 1년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회복되고 비용(10만 마리당 약 6억원)도 만만찮아 세계 각국들이 꺼리는 마지막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문제는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설 명절대목을 앞두고 백신접종 때문에 소의 유통이 꽉 막혀버렸다는 데 있다. 농민들은 설 명절 특수를 보기 어렵고 소비자들은 한우 값이 올라 선뜻 사기 어렵다.앞으로 2주가 고비다. 따라서 당국의 지원이 절실하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