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강승훈 기자] 문화관광체육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부겸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마저도 외래어나 전문용어를 남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1년 동안 정부정책에서 사용되는 어려운 용어로 인해 국민들이 추가로 지출하는 시간비용이 114억원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4일 문화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문화체육관광부 각 실?국의 사업명 및 업무계획서를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실?국에서 외래어나 전문용어를 조합해서 만든 정책명 및 정책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그는 "인재뱅크, 북스타트, 레일바이크 등 굳이 영어로 표현하지 않아도 될 용어까지 영어로 쓰는 등 정책용어를 엉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정부의 주요 정책에 불필요한 외래어나 전문용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 일반 국민들의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한글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마저 정책언어사용에 전혀 모범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며 "특히 콘텐츠정책관의 업무계획서는 너무 많은 전문용어와 외래어 남발로 거의 반절도 이해하기가 어려운 지경이다. 먼저 한글 주무부처인 문화부부터 국어순화의 모범을 보이고 대국민 정책 이해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앙부처 및 각 지자체는 알기 쉬운 용어 사용으로 정부 정책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005년부터 국어책임관제를 시행하고 있다.
중앙부처, 소속기관, 지자체 등에서 국어책임관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지만 국어책임관제에 대한 인식 미흡, 체계적이지 못한 제도 운영, 국어책임관들에 대한 교육 및 교재 부족, 겸직으로 인한 업무 부담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국어책임관제는 거의 형식적인 지정 수준에만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강승훈 기자 tarophi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