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주, 전대 장소·날짜만 합의했나? 지도체제 논란 계속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차기 전당대회를 놓고 민주당 주요 그룹간 힘겨루기와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민주당이 전대와 관련, 합의한 것은 날짜와 장소뿐이라는 우스개 소리마저 나오고 있다. 9월 18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새 지도부를 선출한다는 데 합의했을 뿐 지도체제 문제 등 전대 룰을 둘러싼 이견은 여전하다.


◆지도체제 선택에 따라 지도부 구성이 달라진다

현재 전대 룰과 관련, 가장 큰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지도체제 문제다. 현행 단일성 지도체제를 유지하느냐 아니면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느냐는 것이 골자다.
486그룹의 핵심인 주류측 최재성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는 대선을 통해 민주당이 다시 집권해야 하는 국민적 숙제 앞에 사실상 집권을 포기해야 하는 절망적 지도체제"이라면서 "집단지도체제는 구정치로의 회귀와 기득권의 완벽한 나눠먹기"라고 비판했다. 비주류인 박주선 의원은 "당권독점으로 인한 가장 큰 폐해는 정권재창출을 위한 대권후보군을 양성할 수 없다는 것"이라면서 "당 지도부가 당원과 지지자와 소통하기 위해서도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기 전대에서 어떤 지도체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민주당의 지도부 구성은 확 바뀐다. 현행 단일성 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분리해 실시하기 때문에 대표 경선에 출마했다가 낙선하면 지도부 진입 자체가 불가능하다. 반면 집단지도체제는 1위 득표자가 되고 나머지 차점자들이 최고위원을 맡는다.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
정세균 전 대표와 정동영, 손학규 상임고문 등 전대 출마가 예상되는 빅3 후보들로서는 나쁠 것이 없다. 반면 이번 전대에서 대거 최고위원직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486그룹(40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들은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 지도부 진입의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미경 사무총장 거취 및 전당원투표제 도입 여부도 논란


지도체제 이외에도 전대 룰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하다. 우선 이미경 사무총장의 거취 문제를 놓고도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이는 사무총장이 전대 대의원 명부를 작성하고 당 조직을 정비하는 조직강화특위위원장을 겸직하기 때문이다. 비주류 측은 정세균 대표가 사퇴했기 때문에 전대의 공정성을 위해 정 대표가 임명한 이 총장도 물러나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주류 측은 이에 전대 준비를 총괄하는 이 총장이 물러날 경우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일축하고 있다.
또한 천정배 의원이 강하게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전당원투표제 역시 논란거리다. 전당원 투표제는 주요 계파수장들에 의해 대의원이 장악된 현실을 고려해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에서 민심을 보다 확대 반영하자는 취지이지만 조직적인 동원경선의 폐해가 나타날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천 의원은 "민주당의 쇄신을 위해 전당원투표제 더 나아가 국민직선제 등 획기적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면서 "전당원 투표제는 현재의 체육관 선거를 벗어나 다수의 평당원, 국민에게 당을 열어 당 대표를 직선으로 뽑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이에 "과거 조직선거의 부활을 불 보듯 뻔하다. 숙고해야 한다"면서 "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선거에서 전당원 투표제를 시행하는 것은 입당하는 사람에게 무조건 투표권을 주는 것으로 핵심 당원인 대의원의 지도부 구성 능력을 폄훼하는 것"이라고 반대했다.


김성곤 기자 skzer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