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대·고려대 "세종시 입주 원점에서 재검토"

[아시아경제 김도형 기자]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통과가 불투명해지면서 세종시 입주를 계획했던 대학들이 이전 계획을 백지화하거나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사업이 포함된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고 행정도시를 건설하는 '순수 원안'만 관철될 경우 세종시에 입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했다.

주종남 서울대 기획처장은 "수정안과 달리 원안에는 국고를 지원해준다는 조항이 없다"며 "재원이 없으면 제2캠퍼스 건설은 물론 세종시로 연구단지를 이전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서울대는 세종시 수정안이 폐기되면 중이온가속기 등 첨단 연구시설을 갖춘 과학벨트 사업도 함께 무산되기 때문에 세종시에 들어갈 이유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주 처장은 "자연대, 공대, 농대 등의 단과대를 과학 벨트와 연계해 연구와 교육의 시너지 효과를 낼 계획이었는데 과학벨트가 없다면 우리가 구상하는 융ㆍ복합 연구, 녹색기술 개발 등의 발전 계획과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원안대로라면 세종시 입주가 학교 발전에 도움될 만한 부분이 전혀 없다"며 "정부가 과학벨트 사업만 별도로 추진해 윤곽이 잡힌다면 장소와 예산 문제를 고려해 이전을 검토해볼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세종시 원안이 나올 때부터 입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던 고려대도 수정안이 부결될 경우 입주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는 지난 1월 과학벨트 등 국책 사업이 추가된 세종시 수정안을 전제로 100만㎡ 부지에 6000억원을 투입해 바이오, 녹색기술, 융ㆍ복합, 치의학 전문대학원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고려대 관계자는 "원안으로 간다면 변수가 많아 의사 결정을 내리기 힘들다"며 "수정안이 부결되면 입주 여부를 원점에서 다시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도 서울대와 마찬가지로 과학벨트 사업이 백지화된다면 대학에서 볼 때 이전을 검토할 만한 매력이 없다는 내부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 관계자는 "세제 혜택마저 없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세종시에 갈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도형 기자 kuerte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