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호기 교수 "민주, 깨어있는 시민들에게 희망이 돼야"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7일 "2008년 촛불과 2009년 두 전직 대통령의 서거에 대한 눈물의 기억을 갖고 있는 깨어있는 시민들을 위해 민주당이 무엇을 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이날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의원 워크숍에서 "보수 세력의 '욕망의 정치'에 맞서서 민주적 '살림의 정치', '평화의 정치'를 꾸준히 모색하고 추진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6·2 지방선거 결과를 "불균형의 정치에서 균형의 정치로 정치사회 구도의 전환을 의미한다"며 "지방권력이라도 교체함으로써 행정 권력과 입법 권력의 독주를 제어하라는 국민의 요구가 담긴 선거"라고 해석했다.


그는 선거 승리의 배경적 요인으로 ▲사회 양극화의 확대 ▲민주주의의 후퇴 ▲북풍의 이중적 결과 ▲휴대전화, 트위터 등 정보사회의 진전을 꼽았다.

여기에 이명박 정권 2년4개월에 대한 견제와 중간평가라는 프레임이 선거에서 일관되게 작동했고, 야권 후보 단일화를 통해 진보개혁 세력의 지지층인 화이트칼라와 젊은 세대들의 정치적 참여를 증가시켰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그는 고(故)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현실 속의 북풍과 마음속의 노풍 사이에서 이른바 지키지 못해서 미안하다는 감정이 표출됐다"고 지적했다. 또 "북풍은 진보개혁 세력을 지지하는 그룹에게 새삼 김 전 대통령의 포용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줬다"고 설명했다.


그는 결국 "민주당을 포함한 진보개혁 세력이 권력을 향해 '페이퍼 스톤(투표용지. Paper Stone)'을 던졌다"고 평가하면서 "주당을 포함한 진보개혁세력은 페이퍼 스톤을 던진 지지자들에게 어떤 희망을 줄 수 있느냐가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페이퍼 스톤을 던진 이들을 끌어오기 위해 민주당이 중도개혁에서 새로운 진보로 전환하고 서민과 중산층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수 있는 인적 자원을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시민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연합정치의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그는 향후 예상되는 정부 여당의 정국운영기조 변화와 관련, "월드컵 휴전 기간 동안 강경노선과 온건노선을 모두 고려해 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강경노선을 선택할 경우 7월 재보궐선거를 경유하면서 국정운영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어 "온건노선을 택할 경우 핵심 국정사업인 세종시, 4대강, 정치개혁(헌법 개정을 포함) 등의 험로가 기다리고 있다"며 "또 다른 대안으로 제2의 친서민 중도실용 노선 천명을 통해 국민을 포섭과 배제의 두 국민으로 나누는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달중 기자 dal@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