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검단신도시 채권 유치 경쟁 '과열' 양상

금융권, 수수료 파격 할인 등 유치 경쟁에 채권 가격 고공 행진..."일부 은행, 근저당 설정 해지를 미끼로 계열 증권사에 채권 유치 강요" 주장도 나와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보상금 채권 유치를 둘러 싼 금융권의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11일 인천시ㆍ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3조원 가량의 검단신도시 1지구 보상금 지급이 시작된 후 현재까지 25%(매매 계약 체결 금액 기준)의 보상율을 기록 중이다.

총 8000억 원 가량의 보상금에 대한 협의가 끝나 시행사-토지주 간의 토지 매매 계약이 체결된 상태다. 이중 약 3500억원 가량은 이미 채권으로 지급됐다.


LH 관계자는 "처음에는 불만을 표시하는 토지주들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정상적인 속도로 보상금 지급이 진행되고 있다"며 "불만을 가진 토지주들 외에는 6개월 안으로 1차적인 보상 작업이 대체로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토지주들에게 보상금 채권 지급이 비교적 순조롭게 이뤄지면서 이를 유치하기 위한 금융권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우선 검단신도시 보상 채권 가격이 시장에서 급등했다.


A 증권 검단사무소 관계자는 "검단신도시 보상 채권이 경기도 고덕신도시 보상 채권에 비해 채권 시장에서 두 배의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며 "고덕에 비해 검단의 보상 금액이 압도적으로 많아 금융권들이 이를 유치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면서 채권 가격이 올라간 것"이라고 전했다.


또 금융사들이 기존의 채권 수수료에 비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수료를 받는 등 '출혈 전쟁'에 나서고 있다.


보상 채권 유치의 최강자로 꼽히는 B증권이 수수료를 절반으로 내리자 다른 증권사들도 고객 유치를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B증권보다 비슷하거나 조금이라도 낮은 수수료를 받고 채권을 할인해 주고 있는 것이다.


C증권 검단사무소 관계자는 "사무실 유지 비용 정도만 수수료를 받고 있다. 다른 증권회사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경쟁이 과열되면서 일부 은행 계열 증권사들의 영업 행태가 불공정행위라는 논란마저 일고 있다.


검단의 경우 토지주들의 상당수가 중소기업 공장주ㆍ농민들로 이들은 그동안 대출을 받기 위해 소유 토지를 담보로 설정한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시행사와 토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실제 보상금을 받기 위해선 시행사 측의 규정에 따라 해당 은행과 합의해 대출 담보를 위한 근저당 설정을 해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해당 은행들이 토지주들에게 보상금으로 받은 채권을 계열 증권사에 유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보상금 지급에 필요한 담보 설정 해제 동의서를 써주는 등 '반강제적'으로 채권 유치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D증권 관계자는 "1~2개의 은행 계열 증권사들이 토지주들의 약점을 이용해 담보 물건 설정 합의서를 써주는 대가로 자신들의 계좌에 채권을 유치하기 노력 중인 것으로 안다"며 "이로 인해 비은행계열 증권사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불공정 거래 행위 당사자로 지목된 E은행 관계자는 "LH가 보상금을 지급하면서 토지주들에게 해당 토지의 담보대출을 위해 설정했던 근저당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며 "은행 입장에선 아무런 채권 보장 조치없이 무조건 근저당을 해제해 줄 수는 없다는 판단에서 해당 토지주들의 보상채권 입금 계좌를 우리 은행 법인 계좌로 만들도록 요청한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봉수 기자 bskim@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