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OOK] '애플쇼크'


[아시아경제 강승훈 기자]
'애플쇼크'
김대원 지음/ 더난출판사 펴냄/ 1만3000원


아이폰의 등장으로 산업 체계가 변화하고 있다. 이건희 삼성회장의 복귀에는 아이폰의 공세가 한 몫 했다.

처음 아이폰이 등장했을 당시에는 애니콜과 싸이언이 아이폰의 공세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사전예약 2틀만에 아이폰은 2만 7000대가 팔렸다. 한달 먼저 출시된 '옴니아2'는 2만대 판매에 불과했다.


아이폰의 인기는 새로운 제품의 출시 때문이 아니다. 아이폰의 기술에 대한 한국사람들의 '니즈'가 맞아 떨어진 결과다. 아이폰은 스마트폰 시장 자체를 키워버렸다. 국내 시장에서 3%에 불과했던 스마트폰의 비중이 아이폰 출시 일주일 만에 19%까지 치솟았다.

'애플 쇼크'는 아이폰이 어떻게 한국 시장 진입을 준비했는지 파헤치고 있다. 그 과정 속에서 한국이 간과했던 부분과 애플이 집중한 부분은 무엇이며, 앞으로 한국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한국의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밑에 둔 수직적인 계층 구조 속에서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율을 끌어내는 게 주 전략이었다. 또한 글로벌 기업이 시장을 만들면 국내에서 낮은 원가로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2등 전략’도 한국 기업의 전략 중 하나였다. 이 부분에서 한국 기업은 탁월한 자질을 발휘해 늦게 출발하지만 결승선에 반 발 앞서 도착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세계적 기업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전략으로는 절대 애플을 이길 수 없다. 전문가들은 2등 전략이 하드웨어가 중심이던 과거에는 먹혔지만 소프트웨어 시대에는 통용되지 않을 수 있음을 경고했다. 구글, 애플 등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기업들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기업을 만들어가고 있는 동안 한국의 대기업들은 현재에만 안주하며 20세기 사고방식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오는 우려다.


아이폰은 소프트웨어에 무심했던 이명박 정부도 뒤흔들고 있다. 전 세계 IT 시장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하드웨어는 22.4%다. 대세는 소프트웨어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는 하드웨어에 집중했다.


지난 1월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과학·기술·산업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정보통신 투자 비율은 21개국 가운데 16번째였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투자 비율은 21위, 즉 꼴찌였다. 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쟁력 괴리로 이어졌다. IT 총생산액 중 하드웨어의 비중은 73%인 데 반해, 소프트웨어는 8%에 불과했다. IT 강국 한국 정부의 역주행을 애플이 일깨워준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한국에서도 스티브 잡스와 같은 성공 사례가 나와야 한다”며 3년간 1조 원의 예산 투자를 결정했다.


아이폰은 또한 일상생활도 뒤바꿨다. 기업은 업무 체계를 모바일 중심으로 바꾸고 있다. 휴대폰만 있으면, 어디든 사무실이 될 수 있다는 효율 중심의 사고에서다.


40대 중년들은 생존을 위해 비싼 가격을 들여 아이폰을 사고 있다. IT로 인한 사무 환경의 변화는 눈 깜짝할 사이에 이뤄지고, 여기에 대비하지 못하면 어떤 신세가 될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폰 이후, 트위터도 보편화됐다. 사실 스마트폰이 저변까지 확대된 미국 등에서 트위터는 이미 주요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마이클 잭슨의 사망 소식을 전 세계에 가장 먼저 알린 것도 트위터였다.


트위터는 이렇게 세계적으로 활성화됐지만, 한국에서는 그리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140자 안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미니 블로그는 PC에서 쓰기에는 부적합한 게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제 아이폰을 위시한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트위터는 카페, 블로그, 미니홈피에 이어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인터넷 의사소통 도구로 등극했다.


아이폰을 통한 애플 쇼크의 여파는 방대하다. 이를 통해 앞서가고 있는 줄만 알았는데 뒤처지고 있음도 깨달았다. 그리고 왜 그런 문제가 있는지도 알았다. 또 미래는 전혀 다른 형태로 올 수 있음을 절실히 깨달았다. 지금 바로잡지 않으면 머지않은 미래에는 선진국, 선진 기업의 등만 바라보는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


문제는 기득권 세력이 자신의 기득권을 잃을 각오로 새로운 패러다임에 몸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과 나라가 미래보다는 현재의 안위를 생각해 버티기 전략을 구사한다면 도전 영역인 동시에 미래 성장 동력인 콘텐츠와 창의성은 더 이상 개발되지 않을 것이다. 기업들은 항상 도전자의 입장에서 시장점유율 확장이 아니라 트렌드를 전복한 생각으로 시대에 맞서야 한다. 정부도 정치적인 계산에 따라 IT 정책을 세웠던 구습에서 벗어나 미래를 보고 대승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수립해 나가야할 것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강승훈 기자 tarophine@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